올해 스마트농업 R&D 투자액 723억…기술격차 줄인다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정부는 올해 스마트농업 R&D에 723억 원을 투입, 국내 스마트농업 확산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도모한다.
정부는 올해 스마트농업 R&D에 723억 원을 투입, 국내 스마트농업 확산과 세계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도모한다.

세계 농업계는 지난 1월 5일 세계 최대 전자제품 전시회 중 하나인 미국 소비자전자제품박람회(CES) 2023에 이목을 집중했다. 바로 CES 기조연설자로 미국 농기계 기업인 존디어의 존 메이 회장이 나섰기 때문이다. 세계 정보기술(IT) 산업계를 이끄는 기업인이 최신 산업 동향과 전망을 제시하는 CES 기조연설에서 농기업 대표가 연설자로 나선 건 처음 있는 일이었다. 이 자리에서 메이 회장은 “존디어는 단순 농기계 제조기업이 아니라 세계 최고의 로봇 기술을 도입하는 기업이 됐고 제한된 자원으로 많은 것을 할 수 있도록 컴퓨터 시각, 기계학습 등의 인공지능(AI) 기술을 써서 데이터를 분석하는 솔루션 기업이 됐다”고 선언했다. 메이 회장의 연설에서 알 수 있듯이 농업은 정보통신기술(ICT), AI,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접목하며 스마트농업이라는 첨단산업으로 거듭나고 있다. 스마트농업은 농업이 직면한 농경지·노동력 부족, 기후변화 등의 문제를 극복하며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한 열쇠로 주목받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지난해 161억 달러로 추산되는 세계 스마트농업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220억 달러, 연평균 9.8%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기술격차 극복 위해 올해만 R&D사업에 723억 원 지원

국내외에서 주목받으며 성장하는 스마트농업이지만 우리나라 스마트농업계의 한계점도 여러 가지 지적된다. 가장 큰 문제는 스마트농업 기업의 영세성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기준 스마트농업 관련으로 100억 원 이상 투자를 유치한 기업은 6곳에 그쳤다. 기업의 영세성은 기술 연구개발(R&D)의 한계로도 작용해 선진국과의 기술경쟁이 힘겨워지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정부는 우리나라 스마트농업의 기술수준이 최고기술국인 유럽연합(EU)과 비교해 70%로 4년의 격차가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최고기술국과 비교해 2~2.4년 정도 뒤처진 시설원예와 축사 분야에 비해 우리나라의 스마트노지 분야의 R&D와 보급은 상당히 뒤처져 가령 자율주행 트랙터의 경우 선진국의 무인자율화(4레벨)에 못 미치는 직진·회전만 가능한 수준인 2.5레벨에 머물러 5년 이상 기술격차가 난다는 평가다.

이에 정부는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원활한 국내보급을 위해 적극적으로 R&D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윤석열 정부가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내세우며 지난해 10월 ‘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발표, 2027년까지 농업생산의 30%를 스마트농업으로 전환할 것을 선언함에 따라 R&D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시설원예와 축산분야를 시작으로 2021년에 스마트팜다부처패키지혁신기술개발사업, 첨단농기계산업화기술개발사업 등에 약 388억 원을 투입했으며 지난해에는 노지분야스마트농업기술단기고도화, 디지털육종전환기술개발, 스마트농산물유통저장기술개발, 친환경동력원적용농기계기술개발 등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올해 밭농업기계화촉진기술개발을 신규로 추진하는 등 스마트농업 R&D 투자액을 723억 원까지 끌어올렸다. 국내 스마트농업의 R&D성장은 비단 양적 확대에만 그치지 않았다. 농식품부는 노동집약적 관행농법 위주인 노지농업의 생산기술 향상과 디지털 기반의 영농으로 전환하기 위해 지난해 ‘노지분야스마트농업기술단기고도화사업’에 122억 원을 투자했다. 이에 따라 머신러닝 기반 노지 작물 생장 환경 예측 시스템부터 자동기상관측장비(AWS) 기반 스마트노지 자동 기상 예측, 노지 환경 센서 데이터 수집, 자율주행 농기계의 위치인식 방식 변경 등 노지 스마트농업 관련 특허출원이 증가했다. 향후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 조성사업의 인프라 구축과 상용화 측면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재한 농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스마트농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지 분야를 포함한 스마트농업 전반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원천기술개발 지원부터 이미 확보된 1·2세대 기술을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농업선진국과 기술격차를 줄이면서 국내 기업의 상용화 지원을 촉진해 해외 시장 진출을 유도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전했다.

 

■ [Interview] 권재한 농림축산식품부 농업혁신정책실장

“생산뿐 아니라 유통~소비까지 R&D 지원 범위 넓혀야”

# 스마트농업 확대를 위한 투자 분야와 개발이 필요한 기술은.

“스마트농업은 생산부터 유통·소비까지 농업 가치사슬 전반에 ICT를 비롯한 각종 첨단기술을 접목해 농업 시스템의 스마트화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 스마트농업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부터 소비까지 R&D 지원 범위를 넓혀야 한다. 이에 농식품부는 지난해부터 ‘스마트농산물 유통저장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AI,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유통 관련 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또 노지농업의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의 예측·진단 핵심기술, 각 요소기술의 표준화와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내 스마트농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노지 분야를 포함한 스마트농업 전반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한 원천기술개발 지원부터 이미 확보된 1·2세대 기술을 고도화하는 방향으로 R&D 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 농업의 스마트화 대전환을 위한 정부 차원의 해결과제는.

“정부는 △혁신주체의 역량강화 △분야별 스마트농업 도입확산 △성장기반 강화 등 3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혁신주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선 청년농을 비롯한 농업인의 교육·실습·창업지원을 위해 임대형스마트팜 11개소를 2027년까지 구축할 예정이며, 시설원예·축산농가에 ICT 융복합 시설·장비도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법제도 개정, 전담기관 지정 등으로 법·제도 상의 애로를 해결하고 원천기술 개발·데이터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성장기반을 구축하고자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