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원·서울대 연구진 공동연구

우리나라 바다의 기초 생산력 저하는 영양염 농도 저하에서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김규범 서울대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의 영양염 농도가 장기간에 걸쳐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질산염, 인산염 등의 영양염은 육지 식물에서는 비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해양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에 중요하다. 따라서 영양염 농도가 낮으면 기초생산력을 저하시켜 해양 먹이사슬 내의 낮은 단계부터 높은 단계까지 생산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영양염은 해양 생물체의 배설물과 사체 부스러기의 해저로의 침강, 육상 하천수의 유입으로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외해보다는 연안이 높고, 수층별로는 깊은 수심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다.

수과원과 서울대 연구진은 수과원과 해양환경공단에서 관측한 최근 27년(1995~2021)동안 우리나라 해역별 표층수에서 질산염과 인산염의 농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 외해와 연안 모두 농도가 감소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외해 표층수에서 영양염이 감소한 것은 기후변화에 따라 영양염이 상대적으로 풍부한 저층으로부터의 영양염공급이 줄었기 때문으로 확인됐고 연안은 육상 영양염 유입량 변화 등의 요인으로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실제로 서해와 남해 영양염의 중요한 공급 하천인 금강과 낙동강으로부터 유입되는 질산염 농도는 최근 25년간 큰 폭으로 감소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수과원과 서울대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해역의 기후변화 영향을 이해하는 좋은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며 “장기적인 영양염 감소가 해양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고 관측 결과의 체계적 분석으로 우리 바다에 대한 이해와 대응책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수과원은 올해 초 우리나라 해역의 현재 기초생산력이 10년 전에 비해 60% 수준으로 감소했음을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