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료 전환 시 실질 소득만큼 지원돼야
조사료 품질 개선 노력도 필요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국내산 조사료 재배지가 일부 지역에 편중되고 있는 가운데 조사료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생산기반 구축을 통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지역 축협, 학계 관계자에 따르면 동계조사료는 호남지역과 충남지역 등에서 주로 재배되는 반면 강원·경기·영남지역은 높은 임차료와 이모작 등이 쉽지 않아 조사료 재배율이 낮다.

또한 하계 조사료도 쌀 소득이 높은 강원, 경기 지역의 경우 올해 도별 신청면적이 가장 낮았다. 

경기지역 축협 관계자는 “말하기 조심스러운 부분이지만 농가들은 조사료보다 수도작을 재배해야 소득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고령일수록 조사료보다 수도작을 재배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다”고 밝혔다.

농협 축산경제 관계자는 “미래 지향성을 보고 사업에 참여하는 농가가 있지만 아직까지 대부분의 농가들은 조사료로 전환할 경우 받는 지원금보다 수도작을 재배할 때 얻는 소득이 높아 쉽사리 작목 전환을 못한다”며 “농가들은 쌀을 재배할 때 얻는 소득인 ha당 530만 원 정도까지 지원금을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안정적인 조사료 생산기반을 갖추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에게 실질적인 소득만큼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을 통해 정부 지원을 받는 영농조합법인, 축협, 협동조합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안정적인 생산기반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성경일 강원대 교수는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의 영농조합법인, 축협, 협동조합들이 조사료 생산 계획과 생산기반을 어떻게 확충할지 정부에 제출하는데 나중에 보면 실제로는 생산을 안 하거나 기후 핑계를 대며 목표 달성을 못했다고 말한다”며 “이들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문제가 있는 경우 그에 합당한 패널티를 줌으로써 생산자가 책임지고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성 교수는 이어 “생산 기반이 갖춰지면 합리적인 가격에 조사료 공급이 가능하지만 문제는 20년 동안 개선되지 않고 있는 품질”이라며 “생산자에게 구매한 조사료 품질을 소비지에서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공유할 수 있도록 정부가 플랫폼을 제공한다면 품질이 개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