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국내 중소기업이 겪는 애로사항 중 하나가 바로 인력난(人力難)’이다.

중소기업이 겪는 어려움은 자금과 기술, 판로 등 다양하지만 인력 확보는 구인·구직의 눈높이 문제를 넘어 과장을 조금 보태면 난리(亂離)’ 수준이다.

농업분야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법무부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530외국인 계절근로제 개선방안을 발표했는데 계절근로자의 체류 기간을 1회에 한해 3개월까지 연장 가능하도록 해 최대 8개월 간 취업을 허용하고 적용 대상을 현재 체류 중인 자에게까지 소급 적용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다. 외국인 계절근로제는 고용허가제와 함께 농업 분야의 대표적인 인력 지원 제도로 연중 상시 고용이 어려운 농가의 한시적 인력 수요에 대처할 수 있어 일정 부분 고용허가제가 지닌 한계를 보완하고 농업·농촌의 극심한 인력난 해결에 일조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한국식육운송협회, 마장축산물시장 한우협동조합, 한국계란산업협회, 한국축산물처리협회가 함께 이름을 올린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가 지난 18일 올해 첫 대표자 회의를 개최한 자리에서도 인력난은 주요 화두였다.

식육운송업종의 인력난은 매우 심각해 정부로부터 ‘E-9'을 허락받았지만 축산물 지육상태의 무게가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어서 인력확보에 비상이라는 입장이다.

국내 축산물 유통의 메카 중 하나로 불리는 마장동의 경우도 인력난이 심각해 불법 고용이 상당수 이뤄지고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축산물 가공 인력난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식육포장처리업종은 힘들고(Difficult), 더럽고(Dirty), 위험하다(Dangerous)는 의미인 이른바 ‘3D’ 업종 중 하나로 인식되면서 발골과 가공 인력이 상시 부족한 상황이다. 게다가 외국인력 배정 부족으로 가공 인력난이 가중되고 있다.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에선 또한 신규 인력 확보 못지않게 기존 인력의 유출을 막고 유지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것과 도축·육가공과 관련한 기능과 기술이 다음 세대로 잘 전수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통계청의 고용동향에 따르면 사업체의 적극적인 구직활동에도 불구하고 채용하지 못한 인원을 의미하는 미충원 인원이 지난해 3분기 기준으로 185000명에 달해 역대 최고를 기록했고 이 가운데 93.7%173000명이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선 중소기업의 복잡한 인력구조를 파악해 우선 기능인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한다. 기술인력이나 관리인력과 달리 3D업종의 공장에서 일하는 기능인력은 기본적으로 내국인으로 충원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경기도 광주에서 육가공업체를 크게 운영하는 모 대표는 어렵게 인력을 확보해도 인력난이 끝나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국내나 외국인력을 신입 직원으로 뽑아놓으면 몇 달 안에 그만두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일에 적응하지 못해 몰래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거나 실업급여 수령을 목적으로 잠시 거쳐 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축산물유통부문의 인력난이 한계에 다다른 만큼 업계의 자구노력과 더불어 농식품부, 고용노동부, 법무부 등 관계 부처의 보다 적극적이고 종합적인 대책도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