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복지 축산 활성화 정책 개발해야
윤리적 측면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 저감 등 사회경제적 편익 증대
지속가능한 축산업 토대 마련 위해 필수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우리나라가 동물복지에 대한 국제사회의 요구에 부응하고 세계 축산물 시장에서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행 중인 동물복지축산 인증제와 함께 동물복지 축산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김기현 (사)한국축산경제연구원 조사분석실장은 지난 7일 대구엑스코에서 열린 2023년도 한국축산환경학회 추계 학술대회 특별세션Ⅰ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실장은 “관행 축산에서는 저렴한 가격의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 가축의 밀집 사육과 공장식 축산이 대부분이지만 항생제 과다 사용,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각종 가축질병의 빈번한 발생과 급속한 확산 등이 문제가 되고 있다”며 “동물복지형 축산은 동물의 건강을 증진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가축의 스트레스는 적은 반면 면역력은 높아져 폐사율이 감소하고 육질도 향상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동물복지는 생명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라는 윤리적 측면 뿐만 아니라 식품 안전성 확보, 전염성 가축질병 예방, 생산성 증진, 고품질 축산물 생산, 환경오염 저감 등 사회경제적 편익 증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고 지속가능한 축산업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필수 요건”이라며 “동물복지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와 수요 증가로 동물복지 식품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글로벌 식품회사들도 동물복지 시장의 선점과 점유율 확대를 위해 자체적인 동물복지 지침을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동시다발적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등으로 축산물 시장개방 확대가 가속화되고 사료의 주원료인 국제 곡물 가격의 급격한 변동으로 국내 축산물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또한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선진국들의 동물복지에 대한 보호조치 수준이 점차 높아지고 동물복지에 대한 국제적 공감대가 확산돼 향후 동물복지는 농산물 무역에서 동식물 위생·검역(SPS)과 같이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김 실장은 “동물복지 축산으로의 전환은 우리나라 축산업의 질적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고품질의 안전한 축산물을 원하는 해외 소비지로의 수출 가능성을 높일 것”이라며 “향후 예상되는 비관세장벽에 대한 선제적 대응 수단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동물복지 축산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개발과 추진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이날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엄에서는 지역 양분관리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윤영만 한경국립대 교수는 ‘양분관리 제도 도입현황 및 발전방향’ 발표에서 “지역 양분관리 기반의 경축순환농업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며 “지역단위 양분관리제도를 통해 농경지로 유입되는 비료 성분을 농업환경에 맞춰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고 농경지에 투입되는 양분 중 대기와 수계로 유출되는 양분을 단계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윤 교수는 “수질오염총량관리, 친환경농업 정책, 농업분야 탄소중립 추진과 연계할 경우 지역 단위 농경지의 양분 총량을 관리할 수 있다”며 “농업분야 탄소 중립은 농경지 양분투입 저감과 가축분뇨 비에너지 이용이 주요 대안”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2023년 한국축산환경학회 정기총회에서는 차기 회장으로 이인복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교수가 임명됐다.

이 교수는 “축산 환경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중요 인력은 부족하다”며 “전임 회장, 임원, 회원들과 축산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후학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교수의 제15대 회장 임기는 내년 1월 1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