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이자 의원·환경부·환경공단
바이오가스 생산 위한 기술 토론회

[농수축산신문=박현렬 기자]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때 혐기성 소화를 거칠 경우 호기성 처리, 소각, 건조화 처리 등에 비해 에너지 회수량이 많다는 주장이 나왔다.

지창현 금호건설 수석은 지난달 26일 임이자 의원(국민의힘, 상주·문경)과 환경부 주최, 한국환경공단 주관으로 국회의원회관 신관 제3세미나실에서 열린 ‘바이오가스 생산을 위한 기술 토론회’서 이같이 밝혔다.

지 수석은 ‘서산 통합 바이오가스화 설치·운영 사례’ 주제발표에서 “기존에 검증되지 않은 외국 기술을 도입해 실패하는 사례가 많았는데 수평형 혐기소화 과정을 통해 기존 공정의 문제점을 보완했다”며 “기존의 공정은 가스배출을 저하하고 침전물이 형성돼 유효용적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수평형 혐기소화 공정에서는 교반효율이 우수했으며 소화효율 또한 증대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액체 위에 생기는 각종 불순물인 스컴 발생이 억제됐고 유효용적 감소도 막을 수 있었다”며 “전처리 과정을 최소화했지만 에너지 생산량은 오히려 늘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금호건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가축분뇨, 음식물, 분뇨, 하수슬러지를 병합처리 했을 때 개별처리 대비 115억2000만 원의 사업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가스화 시설에서 가축분뇨 100톤을 개별처리하기 위한 사업비는 170억 원으로 연간 운영비가 7억3000만 원에 달하는 반면 연간 수익은 2억1000만 원에 불과해 경제성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날 김종률 환경부 물환경정책관은 ‘바이오가스법 설명’ 발표를 통해 “'유기성 폐자원을 활용한 바이오가스의 생산 및 이용 촉진법 하위법령 입법예고(안)'에 가축분뇨 배출자는 3년 평균 돼지 사육마릿수 2만 마리 이상, 가축분뇨 처리자는 1일 100톤 이상 국고지원 처리시설, 음식물류폐기물 배출자는 3년 평균 배출량이 1000톤 이상으로 담겼다”며 “민간 의무생산을 통해 바이오가스화해야 할 목표 폐자원량은 2026~2030년 10%, 2035년 50%, 2040년 60%이며 최종 목표는 2050년까지 80%”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