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정부도 쌀 생산농가도 산지유통업체도 수확기 산지 쌀값에 대한 관심이 높다.

통계청의 지난달 25일 기준 산지 쌀값은 80kg 정곡 기준 204568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수확기 첫달인 10월 세차례 조사된 산지 쌀값의 평균가격은 21556원으로 지난해보다는 16.1%, 평년보다는 6.6% 상승했다.

산지 쌀값 상승에는 여러 요인이 있겠지만 지난해산 재고물량이 지난달 10일 기준 206000톤으로 지난해 보다 40%나 감소한데다 올해 쌀 예상생산량(3684000)도 재배면적 감소로 지난해보다 2.1% 감소한 영향이 가장 컸다.

비록 수요량보다 77000톤 과잉으로 예상되나 과거 과잉시기였던 10년 평균 과잉물량 189000톤과 비교하면 시장격리 등 별도의 조치가 없어도 수확기 수급관리를 통해 수확기 쌀값이 21만 원 내외에서 형성될 것이라는 게 농림축산식품부의 판단이다. 어쨌거나 정부로서는 산지 쌀값 20만 원약속을 지킨셈이다.

하지만 정부와 농가가 생각하는 산지 쌀값의 의미는 다른 것 같다. 농가들은 급락했던 쌀값이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고 정부도 쌀값 상승에 의지를 보이는 것에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보다 중요한 것은 가격 자체가 아닌 소득이라고 여긴다. 물론 산지 쌀값이 올라가면 농가소득도 높아지는 게 당연하지만 인건비, 임대료 등 생산비 인상으로 적자농사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정부로서는 무작정 쌀값만 높이기도 어려운 게 사실이다.

지난달 24일 홍문표 의원(국민의힘, 홍성·예산) 주최로 국회에서 열린 긴급 정책 토론회에서 쌀 생산 농업인의 절실한 요구조건은 농촌정주의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농업소득을 주업인 쌀 소득으로써 얻고자 하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것도 그 이유에서다.

지금은 국민의 주식인 쌀을 생산하는 농가의 긍지와 자존감도 고취시키면서도 안정적인 쌀 농사가 가능한 구조로 변화시키기 위한 정부의 고민과 노력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