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감척 통해 오징어 자원 어획압력 줄이고 어선 척당 생산성 개선해야
연근해 살오징어 생산량 20년만에 85% 급감
오징어 자원감소 원인불명

동해지역의 오징어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어업인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사진은 조업중인 오징어 채낚기어선.
동해지역의 오징어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어업인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사진은 조업중인 오징어 채낚기어선.

 

동해안 지역의 오징어 생산량이 급감하면서 어업인들의 경영난이 심화되고 있다. 오징어는 2017년 어획량이 급감한 이후 회복되지 못한 채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서도 어획량이 급감해 동해안 지역의 어업인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살오징어 어획량 동향을 살펴보고 동해지역 어업인들이 요구하는 경영안정대책에 대해 들어봤다.

# 20년 만에 85% 급감

연근해의 살오징어 생산량은 불과 20년만에 85% 급감했다는 점에서 상황이 심각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살오징어 생산량은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간 20만~25만 톤 수준을 형성했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어획량은 감소세를 보였다. 2003년 23만3254톤이었던 오징어 생산량은 2005년 18만9126톤을 기록한 이후 10만 톤 중후반대에서 형성되다 2017년 8만7024톤까지 급감했다. 이후 5만~6만 톤 선 수준을 기록했으나 지난해에는 3만6549톤으로 역대 최저의 어획량을 보였다. 2003년 이후 20년 만에 살오징어 어획량이 85% 가량 감소한 것이다.

이같은 감소세는 올해 들어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 1~9월 국내 살오징어 생산량은 2만1836톤을 기록해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으며 지난달과 이달에도 어획부진이 이어지면서 올해 살오징어 생산량은 3만 톤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3년 이후 어획량이 서서히 감소했지만 어가가 상승하면서 어업인들의 경영은 크게 악화되지는 않았다. 실제로 2003년 3729억 원 수준이었던 살오징어 생산금액은 2017년 어획량이 8만7024톤까지 줄었음에도 4926억 원을 기록했다. 이후에도 어가가 높게 유지되면서 연간 살오징어 생산금액은 4000억~5000억 원 수준을 기록해 왔다. 하지만 지난해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지난해에는 어획량이 급감하면서 연간 살오징어 생산금액은 3059억 원 수준에 머물렀고 올해는 지난 1~9월 살오징어 생산금액이 2360억 원에 그쳤다.

# 기후변화? 남획?…원인은 ‘불명’

살오징어 생산량의 급격한 감소원인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지만 사실상 원인불명인 상황이다.

가장 먼저 지목되는 원인은 기후변화다. 기후변화로 표층수온이 상승하면서 살오징어의 산란·서식장 등이 북상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살오징어 이외에는 어획량이 급격하게 감소한 어종이 없는데다 다른 해양생태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는 점을 볼 때 기후변화만의 영향으로는 보기 어렵다. 특히 올해 러시아 수역으로 출어를 나갔던 근해채낚기어선들도 어획쿼터 3000톤 중 400톤 수준만 소진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기후변화로 살오징어 개체가 북상했다는 주장에는 힘이 실리지 않는다.

두 번째 이유로는 중국과 북한어선의 남획이다. 살오징어의 회유경로에서 중국어선과 북한 어선이 싹쓸이 조업을 하면서 자원이 남획됐다는 것이다. 이는 정확한 어획량을 확보할 수 없어 증명이 어려운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지목되는 원인은 국내 어업인들의 남획이다. 동해일대에서 장기간 이뤄졌던 불법공조조업 등으로 자원량이 감소한 상황에서 ‘총알오징어’로 불리는 어린 살오징어에 대한 남획이 발생하면서 어획량이 급감했다는 것이다.

수산자원분야의 한 전문가는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온도 변화는 수온이 등락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상승하는 구조인데 살오징어 어획량만 급격하게 감소했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며 “기후변화와 외국어선과 국내어선의 남획, 산란·서식지 파괴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것 이외에 설명하는 것이 어렵다”고 말했다.

# 감척 말고 대안이 없다

동해지역 어업인들은 살오징어 생산량 급감에 대응해 특별경영안정자금 지급과 융자금·공제금 지원, 생계비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수산업경영인중앙연합회와 강원도수협조합장협의회, 경북도수협조합장협의회 등은 ‘동해안 어업인들이 죽어가고 있습니다’라는 제하의 호소문에서 융자금과 공제금에 대한 정부지원, 저리의 특별경영안정자금 지급, 톤당 기준단가를 현실화한 감척, 해외신어장 개척, 근해어선에 대한 낚시어선 허가 취득 허용 등 6가지를 요구했다.

하지만 수산업계의 전문가들은 살오징어 어획량 감소의 과학적인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단순히 어업인들을 연명시키는 수준의 땜질식 처방은 해법이 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2016년 국내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100만 톤이 무너진 이후 살오징어 생산량은 완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살오징어 생산량이 증가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는 것이 그 이유다.

한 자원경제 전문가는 “오징어 자원감소의 원인이 규명돼야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데 지금은 어획량이 줄어든 것에 대한 정확한 이유가 없어 대책을 내놓기도 어렵다”며 “내년에 어획량이 회복될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특별경영안정자금 지급이나 생계지원 등이 해결책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결국 대규모 감척을 통해 오징어 자원의 어획압력을 줄이는 동시에 어선 척당 생산성을 개선하는 것 이외에 다른 해법이 없어보인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