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낙농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후계낙농인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과 체계적인 교육을 필수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배인휴 순천대학교 명예교수는 지난달 30일 성환읍 행정복지센터에서 ‘국내외 낙농산업 진단을 통한 지속가능한 낙농 발전 방안’을 제목으로 열린 국립축산과학원·TMR연구회·(사)한국초지조사료학회 주최의 공동 심포지엄에서 이같이 밝혔다.

배 명예교수는 ‘지속가능한 낙농업을 위한 발전 방안’ 발표를 통해 “요즘 낙농가들의 최대 고민은 후계낙농인이 없다는 것으로 후계자가 없는 낙농업 경영주가 전체의 62.5%나 된다”며 “지속가능한 낙농체제의 부재로 인한 불안함, 점점 높아지는 생산비와 대비되는 수익 등으로 인해 후계낙농인들이 진입을 꺼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60대 경영주의 비율은 전년보다 2.3% 증가한 43.8%로 40대 17.5%, 50대 19.4%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이며 후계자 문제가 점점 더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배 명예교수는 “후계낙농인의 육성·공급을 위해 ‘지속가능 낙농 특별법’을 마련해야 한다”며 “법의 내용으로는 30년 이상의 낙농경험 목장주와 도제 교육제도 도입, 국가차원의 폐목장 시설·장비 임대 등 후계낙농인 육성을 뒷받침할 제도와 교육이 담겨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유럽연합(UN)에서 발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맞춰 우리나라의 천연자원을 보호하는 한편 안전하고 영양이 풍부한 우유를 소비자에게 꾸준히 보급하기 위해 스마트 축산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홍석구 농림축산식품부 축산경영과 사무관은 ‘국내 낙농산업 현황과 유대체계 개편’ 주제 발표를 통해 “국산 유제품 자급률은 2001년 77.3%에서 지난해 44.8%로 큰 폭으로 하락했다”며 “유제품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수입 유제품과의 경쟁 심화로 인해 앞으로의 낙농 소비시장도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