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환경을 살리고 건강을 지키기 위해 지역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그 지역에서 소비하는 로컬푸드(Local Food)’ 운동이 본격적으로 추진된지 10년이 지났다.

정부가 2013년 농산물 직거래 확대의 일환으로 마련한 농산물 유통개선대책을 계기로 추진돼 온 로컬푸드 운동. 당시 로컬푸드 운동이 직거래를 통한 유통비용의 절감과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 이익을 볼 뿐만 아니라 지역의 신선 농산물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으며, 특히 영세 고령농에게 안정적인 판매 기회를 제공해 농가소득 제고는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컸다.

이후 10년이 지난 지금. 실제 그 기대와 효과는 어떠했을까. 농식품신유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농협 로컬푸드직매장 성과 진단 및 발전 방안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전국적으로 778개소의 로컬푸드직매장이 운영중이다. 10년이 지나며 외연 확장에서는 성과를 거뒀다고 판단된다.

수치적으로도 지난해 전국 675개 농협 로컬푸드직매장의 경우 53802명의 농업인이 출하해 5455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유통비용(20.9%)도 일반 유통경로(48.2%)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178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 출하자의 소득으로 환원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에게도 일반 소매가격 대비 90.1% 수준으로 구매 가능해 총 5993400만 원의 구매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지역경제생산 유발 효과 55692000만 원, 3706개의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효과가 확인됐다.

하지만 이 같은 운영성과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의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지자체 중심의 로컬푸드 사업과의 경합, 타 지역산 취급 논란, 운영의 비활성화, 로컬푸드 주체성 논란, 수수료 문제, 무분별한 사업 확장에 따른 적자 발생 등 다양한 비판은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 있다. 특히 장기간 로컬푸드직매장이 운영되면서 일부 매장에서 로컬푸드 본연의 가치를 훼손하는 경영 행태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어 규정이나 제도적 보완도 필요하다.

로컬푸드직매장이 지속 유지되기 위해선 경영의 안정화가 필수적이다. 다만 단순히 수익 창출 그 이상의 로컬푸드직매장 본연의 가치를 유지해야만 하는 어려움도 있다. 이는 정부, 지자체, 농협, 민간 등 어느 한 주체만의 노력으로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로컬푸드직매장 등 로컬푸드 운동이 확산돼 그 가치를 높이기 위해선 정책적·제도적·사업적 측면의 질적 성장을 이루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