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국민반찬오징어가 언제부터인가 우리 식탁에서 사라지고 있다. 연간 20만 톤씩 어획되던 오징어가 어느 순간 자취를 감추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살오징어 생산량은 2002년까지만 해도 연간 20만 톤~25만 톤 가량 생산됐으나 2005년 약 19만 톤으로 줄어든 이후 매년 감소세를 보이다 2017년에는 87000톤으로 10만 톤 아래로 급감했다. 감소세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2022년 생산량은 3만여 톤으로 급격히 줄어들었고, 지난해 11월 현재 어획량은 2만여 톤으로 20년만에 10분의 1 수준으로 감소했다.

오징어뿐 아니다. 도루묵의 경우도 1987년 연간 1만여톤이나 생산됐으나 차츰 어획량이 줄더니 2000년대에는 2000톤 내외로 급감했다. 이후 정부가 수산자원회복사업을 추진, 연간 어획량을 5000톤 내외 수준으로 회복했으나 더 이상 대책이 추진되지 않으면서 2022년 다시 1408톤으로 급감했으며, 지난해 11월 현재 467톤밖에 어획되지 않았다.

이같은 수산 자원의 감소 문제는 오징어나 도루묵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란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실제 수산자원회복계획에 따른 회복대상어종은 20064개 어종으로 시작했으나 현재 25개 어종으로 늘어난 상황이다.

이처럼 주요 어종의 생산량이 급감하고 있는 이유는 기후변화, 남획, 산란·서식장 파괴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문제는 해양수산부가 대책 차원에서 마련한 수산자원회복계획이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수산자원회복계획은 강제력이 없어 사실상 자율관리사업 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오징어나 도루묵과 같은 사례가 더이상 발생해서는 안된다. 급격한 자원감소는 단순히 어업인의 소득 감소에 그치지 않는다. 먹거리 안전성과 식량안보와 직결되는 문제이다. 지금이라도 수산자원회복계획이 당초 취지에 맞게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