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설대목이 지났는데도 농어촌 경기는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기상이변에 따른 수확량 감소로 농산물 가격은 예년보다 높은 편이지만 정부의 무리한 물가안정 대책으로 농업인 소득은 형편없이 떨어졌다. 설특수를 기대했던 축산물 도매가격은 축산물품질평가원 분석 결과 지난해와 비교해 2.2% 오른 한우를 제외하면 육계는 무려 -17.6%, 돼지는 -13.1%, 계란은 4.3%를 보였다. 수지를 맞추지 못하는 영세농가들은 줄도산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다수 국민들은 평온한 일상을 회복하고 있지만 농어촌은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물가당국의 무책임한 농축수산물 수입정책으로 생계의 위협을 느낀 농업인들이 또다시 거리로 나오고 있다.

이뿐인가. 더 심각한 문제는 농어촌 소멸위기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23년 현재 국내 228개 시··구 중 소멸고위험지역은 51개소로 22.4%에 달하며, 소멸위험진입단계인 지역도 67개소에 달한다.

이처럼 농어업계를 둘러싼 악재가 산재해 있지만 안타깝게도 농어촌 회생을 위한 시간은 그리 많아 보이지 않는다. 한번 붕괴된 식량공급망 시스템은 다시 되돌리기가 쉽지 않다. 이번 총선이 중요한 이유다. 앞으로 4년 동안 우리 농어업의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농어업의 삶의 질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살고싶은 농어촌으로 복귀시켜야 하는 시점이다.

농축수산업계는 이와 관련 제대로 된 농산물 수급 안정시스템과 농·축산물 가격 안정제도 도입, 소득안정방안, 현실적인 농업재해보상법 등을 요구하고 나섰다.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이상기후에 대응하고 널뛰기 하는 농축수산물 가격과 불안정한 농가 소득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또 안정적인 인력 수급 대책과 급등하는 생산비 대책, 사료가격 안정방안, 농사용 전기 특례할인 추진 등 다양한 대책에 대한 요구가 쏟아 지고 있다. 이와 함께 상재화되고 이는 가축질병에 대한 철저한 방역대책과 근복적인 해결방안도 필요하다.

농어촌의 소멸은 농어촌 주민들이 삶의 터전을 잃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안정적인 식량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은 물론 국민 모두가 향유해야 할 농업의 다원적 가치가 훼손되는 일이다. 이번 총선이 농어촌에 새로운 희망의 싹을 틔우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