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귀농·귀촌자들은 성공적인 귀농·귀촌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과 자금지원을 꼽았다.

농림축산식품부가 2018~2022년 5년간 귀농·귀촌한 60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귀농·귀촌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을 묻는 질문에 귀농은 38.7%, 귀촌은 38%가 농지·주택·일자리 등 정보제공을 꼽았다. 다음으로 귀농은 농지·시설 자금·임대 지원(23.4%)을, 귀촌은 자금 지원(11.5%)을 요청했다.

귀농·귀촌 유형은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연고가 있는 농촌으로 이주하는 유(U)형이 증가하면서 귀농은 전체의 75.6%, 귀촌은 44.8%를 차지했다. 농촌에서 태어나 도시생활 후 무연고 농촌으로 이주하는 제이(J)형(귀농 12.3%, 귀촌 19.0%)과 도시 출신자가 농촌으로 이주하는 아이(I)형(12.1%, 36.2%)은 전년보다 감소했다.

귀농 이유는 자연환경이 30.3%로 가장 높았고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22.3%), 가업승계(18.8%) 순이었다. 귀촌은 농산업 외 직장 취업이 가장 많은 24.9%를 차지했으며, 정서적 여유(13.1%), 자연환경(12.1%) 순이었다. 특히 30대 이하 청년의 귀농 이유로 농업의 비전·발전 가능성(34.6%)이 최근 5년간 계속해서 1순위를 차지했다.

귀농·귀촌에 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귀농 66.7%, 귀촌 69.3%로 10가구 중 7가구가 만족을 표했다. 지역주민과의 관계도 귀농가구의 69.8%, 귀촌가구의 52.9%가 ‘관계가 좋다’고 응답했다.

귀농 경력 5년차의 연평균 가구소득은 3579만 원, 귀촌가구는 4276만 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귀농 첫해 가구소득 2420만 원, 귀촌 첫해 3581만 원과 비교하면 각각 47.9%, 19.4% 증가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 귀농·귀촌 가구의 월평균 생활비는 귀농 전 234만 원, 귀촌 전 227만 원에 비해 각각 29.9%, 17.2% 감소한 귀농 164만 원, 귀촌 188만 원으로 집계됐다.

귀농 준비기간은 평균 25.7개월, 귀촌은 15.3개월이었다. 준비기간동안에는 정착지역과 주거·농지 탐색, 자금조달, 귀농귀촌교육 등의 활동을 주로 수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귀농가구는 주로 채소(35.5%), 논벼(25.5%), 과수(16.8%)를 재배했으며 주 작목 선택 이유로는 재배의 용이성이 가장 높은 49.1%를 차지했고 높은 소득(23.0%), 주변인 권유(19.6%), 지역 특화작목(4.6%) 순이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