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촌소멸 '심화'…귀어·귀촌 지원 강화·지원체계고도화 필요
기술장벽 큰 분야인만큼 현장 밀착형 기술교육 필요
어촌 활성화 위해 어촌공간이 가진 다양한 어메니티 활용방안 마련해야

 

연안·어촌의 소멸위기에 대응, 어촌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28일 경남 통영시 경상국립대 1917홀에서 ‘돌아오는 연어톡’을 주제로 연안·어촌 현안을 논의하는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번 토크콘서트에서는 강도형 해수부 장관이 직접 참석해 연안·어촌마을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했다.

# 어촌소멸 ‘심화’…귀어·귀촌 지원 강화돼야

이날 토크콘서트에서 참석자들은 어촌의 소멸우려가 심각해지고 있는 만큼 귀어·귀촌에 대한 지원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지원체계의 고도화도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영목 부경대 교수는 “한국개발연구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귀어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52.6세이고 80% 정도가 1인 가구로 귀어한 후 10여년 후 도시로 돌아가는 패턴이 많다”며 “어촌이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젊은 사람들이 어촌으로 들어가야하지만 청년세대 전체가 급감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해수부에서는 청년의 창업지원에 3억 원까지 금융지원을 하고 있으나 어선과 주택마련, 어업허가나 면허를 구하려면 3억 원은 턱없이 부족한 금액”이라며 “앞으로 10년만 지나도 귀어할 인구자체가 없어질 수 있는 상황인 만큼 산발적으로 이뤄지는 정책들을 보다 체계화하고 지원도 강화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양승현 숨비해물 대표는 “대우조선해양에서 해양플랜트 구조설계일을 하다가 귀촌해 수산물 유통을 하고 있는데 정부의 귀어·귀촌정책이 다양해도 실질적으로 와닿지는 않는 것이 많다고 느꼈다”며 “귀어학교 등을 통해 교육도 지원하고 있지만 직장을 그만두고 짧게는 몇주, 길게는 몇 달간 교육을 받기에는 생계문제로 조금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귀어·귀촌의 스토리텔링을 강화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남 거제시의 신호진 해녀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에 근무하다 온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귀어·귀촌은 브랜드가 너무 약해서 청년들이 진입해보고자 하는 생각이 안드는 영역”이라며 “정부에서 단순히 귀어·귀촌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원을 해주겠다는 식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스타귀어인의 사례를 다수 배출하고 이를 통해 귀어인의 롤모델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면 청년들의 귀어확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현장밀착형 기술교육 필요

어업분야는 기술장벽이 큰 분야인만큼 현장 밀착형 기술교육의 필요성도 제기됐다.

이날 행사의 진행을 맡은 박상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연구부장은 “스마트농업기술은 표준화가 잘돼 있어 짧은 교육으로 기술교육을 할 수 있지만 어업분야는 다양한 업종과 어종을 가지고 있는데다 기술 표준화가 이뤄져 있지 않아 교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고 지적했다.

통영에서 통발어업을 하고 있는 김창수 씨는 “어업은 기술을 습득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려 제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기성어업인들이 1년 정도라도 귀어를 희망하는 사람의 고용을 일부 지원한다면 어업인이 멘토도 될 수 있어 귀어희망자들이 기술을 습득하는데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충식 경상대 명예교수는 “최근 실습프로그램을 마련해 지원하고 있지만 실습시간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어선어업은 어업을 하는 방법 이외에도 알아야 하는 것이 많은 만큼 적어도 1년 이상의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태근 견유마을 이장은 “귀어·귀촌을 하려해도 주택문제나 어업기술, 선박계류장소 문제 등 어업이나 어촌의 진입장벽에 막혀 귀어를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어촌계장이나 마을이장, 선배 귀어인 등이 귀어희망자의 멘토가 돼 적극적으로 지원한다면 귀어·귀촌이 한결 쉬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 동상이몽인 어촌계 폐쇄성

이날 토크콘서트에서는 어촌계의 폐쇄성 문제를 두고 지역별 편차를 보였다.

윤길정 다대어촌계장은 “어촌계의 진입장벽 문제가 그렇게 심각하지 않은데 실제로 우리마을은 3년 거주 조건에 인품을 보고 아무런 조건없이 받아주고 있다”며 “귀어를 할때는 기술력과 자금력이 중요한데 이게 안된 상태에서 귀어를 하게 되면 100% 실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근 이장도 “어촌계원이 아니더라도 어촌마을에 사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며 “물론 계원들이 누리는 혜택이 있겠지만 계원이 아니라도 어촌에서 사는 데 무리가 없다”고 말했다.

이들 마을은 선진적인 마을로 손꼽히지만 마을어업이 주를 이루는 서남해권에서는 어촌계원 가입여부가 귀어의 성공과 직결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 현실이다.

정준영 경남어촌특화지원센터장은 “통영이나 거제지역은 어선어업이 많기에 어촌계원의 가입여부가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있지만 마을어업이 활성화된 지역은 상황이 다를 것”이라며 “특정 지역의 사례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많은 어촌마을의 사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한다”고 말했다.

# 어촌어메니티 활용방안 마련해야

어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어촌공간이 가진 다양한 어메니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남 영광군의 장문석 귀어인은 “내가 살고 있는 대신항이 어촌신활력증진사업 대상마을로 선정됐는데 예산이나 제도의 문제로 포토존이나 조형물 등을 못하도록 하고 있다”며 “지역에서 이를 잘 활용하면 관광객 유치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만큼 이 규정을 완화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인아 건축공간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정부에서는 어촌신활력증진사업 등을 통해 어촌에 새로운 인구가 유입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이들 정책사업에서 조형물을 만드는 것은 사실상 제한되고 있다”며 “조형물 하나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유지보수도 꾸준히 이뤄져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다 어촌공간에서 해안이 가진 장엄한 풍경을 유지하기 위한 지역단위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촌분야의 정책사업에 참여하면서 남해안의 여러 마을을 찾았는데 같은 남해라하더라도 공간감이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며 “어촌공간은 충분한 잠재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어촌계에서 마을이 가진 자원에 대해 조금만 더 고민해줬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