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홍정민 기자]

최근 정부는 외국인력 고용관리와 체류지원을 위한 중앙, 지방, 민간의 칸막이 없는 협업을 선언했다.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난달 28‘2024년 제1차 고용허가제 중앙-지방 협의회를 개최, 관계부처와 업종 단체, 그리고 17개 광역자치단체와 함께 외국인근로자의 도입과 체류지원 분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상담과 교육·훈련, 주거 지원 등 중앙부처간, 중앙-지방간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 20221229일 고용허가제 개편방안에 따라 자치단체 의견 수렴 활성화를 위해 중앙-지방(광역지자체) 협의회를 반기별로 정례화 하기로 했다.

정부는 산업현장 인력난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 5~6만 명 수준이던 외국인력(E-9) 도입 규모를 지난해 12만 명, 올해는 165000명으로 2년 연속 역대 최대 수준으로 늘리고, 6개월 동안 7개의 신규 업종을 고용허가 대상으로 추가하는 등 산업계의 수요에 대응해 고용허가제를 확대·개편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2일 한국축산물처리협회 사무실에서 열린 ‘2024년 제1차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 대표자 회의에선 현장 인력난 문제가 다시 중점적으로 논의됐다.

축산물 유통의 시작점이자 위생과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해야 하는 도축장의 경우 이른바 ‘3D’업종으로 인식되면서 신규 인력 채용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장에선 입사 후 3개월 이내 퇴사자가 50% 이상이나 되고 일부 조사에선 도축장 현장 근무자의 평균 연령이 55~63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외국인 근로자의 안정적 채용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축장의 특수한 근무 환경탓에 부적응이 많아 비전문 취업인 E-9 비자 소지자도 입사 후 바로 퇴사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식육포장처리업체도 사정은 마찬가지이다. 축산농가와 소비자의 중간접점에서 농가가 생산한 소·돼지·닭 등을 소비자가 실제로 소비할 수 있는 제품으로 가공해 유통하고 농가에게는 구매자로서 농가의 실질소득 향상을 도모하는 등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지만 역시 3D업종으로 청장년층 신규인력 유입이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생산직 평균 연령이 약 50대 이상으로 노령화가 급격히 진행 중으로 있어 발골·가공 인력은 상시 부족을 겪고 있다. 지육을 운반하는 운송업체들도 사정은 매한가지이다. 축산물을 다루는 데 있어 4분도체 등 도체중이 계속 커지면서 업무 특성상 체력과 힘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인력난을 겪고 있다.

소비자에게 위생적이고 안전한 축산물을 생산·유통·공급해야 하는 도축, 육가공, 운송분야에서 모두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처럼 부족인력에 대한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이 불가피하지만 제조업으로 분류돼 타 제조업체와의 경쟁이 불가피하면서 축산가공 분야는 외국인력 배정 부족으로 인력난 심화가 지속되고 있다.

축산물유통단체협의회의 우려처럼 조만간 현장인력 부족으로 축산물 도축·가공·유통산업이 위축돼 소비자 가격인상은 물론 공급측면에서 수입육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해 농림축산식품부가 고용노동부와 보다 적극적인 부처간 소통과 협력을 통해 축산업 현장의 인력난 해소에 앞장서 주길 바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