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산업 안정화 위한 제도개선 앞장설 것"

공급과잉과 경기불황으로 인한 소비 부진으로 이중고를 맞고 있는 한우 산업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민경천 신임 전국한우협회장이 한우산업 공동체 의식 함양과 내실안정, 한우산업 안정이라는 키워드를 들고 나섰다. 
 

민 회장은 2002년 한우협회 해남군지부 사무국장으로 시작해 해남군지부장, 광주·전남도지회장을 역임, 2017년 한우자조금관리위원장으로 취임해 지난해까지 연임하며 한우협회와 한우자조금의 모든 자리를 두루 거쳤다.
 

그만큼 한우인들의 바닥 민심을 누구보다 잘 아는 그는 한우인들이 한우협회에 요구하는 것들을 최고 사명으로 알고 임기 동안 한우산업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일성을 밝혔다.   지난 4일 임기를 시작한 민 회장을 만나 포부를 들어봤다.

 

#한우산업 위해 자조금·정부·농협과 원팀으로 뭉쳐
 

“한우협회장이 되면서 가장 많이 들은 말은 한우농가들이 뭉쳐지지 않는다는 말이었습니다. 한우자조금위원장 시절부터 늘 생각했던 부분이어서 한우협회장이 되면 이 부분을 가장 먼저 해결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주관 기관별 수행 사업 성과에 매몰된 치적 공방에서 탈피해 한우산업 발전을 위한 공동 활동과 협업‧동행에 주력할 생각입니다. 특히 한우협회와 한우자조금, 농협, 정부가 원팀이라는 생각으로 한우산업과 한우농가만을 생각하며 하나된 힘을 발휘하려고 합니다.”
 

민 회장은 시·군지부 순회 후 지부장 의견을 바탕으로 정책 방향을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현장 정책과 현안 강화를 위한 지역별 순회 의견을 청취하는 지역별 순회 간담회를 추진하려고 합니다. 전국 한우인들의 의견을 취합해 정책 반영을 위한 정부·국회 활동을 강화할 것입니다. 특히 협회 직원 지역 담당제를 통해 지역별 환경과 문제점 파악은 물론 맞춤형 정책 수시 보고 체계를 가동하려고 합니다. 지역교육과 자조금 사업 추진 시에도 현장에 직접 참석해 지역 의견을 수렴하려고 합니다.”
 

실제로 민 회장은 취임 후 2주 정도 지난 현재까지 휴일과 주말까지 반납하고 지역의 모든 한우 행사에 참석하며 현장의 소리를 들었다.
 

“협회장이 되고 전화를 정말 많이 받았습니다. ‘소값이 이렇게 떨어졌는데 한우협회 뭐하냐’고 소리를 지르는 분들에게 ‘어디지부 누구시냐’고 물으면 회원은 아니지만 자조금을 낸다고하고 전화를 끊습니다. 한우협회가 큰 목소리를 낼 수 있으려면 한우인들이 함께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때문에 한우협회 회원 확충에 최선을 다할 생각입니다.”
 

한우협회는 이를 위해 미등록 회원을 파악하고 회원 등록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지금 생각으로는 더 많은 한우농가들이 한우협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입회비 감면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전체가 참여하는 구조로 한우협회가 한우 대변자의 역할을 충분히 하면 한우농가들도 공감하고 한우협회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우산업 안정화돼야
 

한우공급 과잉으로 한우 가격이 하락하면서 한우산업의 위기가 거론되고 있는 지금 민 회장은 경영안정화를 위한 자율적 수급조절의 필요성을 강조하되 한우산업 안정화를 위한 제도개선에는 협회가 앞장설 것을 약속했다.
 

이미 민 회장은 취임 2주 남짓한 시점인 지난 15일 가축전염병 예방법 시행령 개정과 관련해 소득안정비용 지원, 살처본 보상금 지원 강화 등 한우협회의 요구사항을 반영시킨 바 있다.
 

“소 질병 살처분 보상 기준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에 보상금 감액제도 보완, 조기신고 보상비 현실화 등을 요구했습니다. 지난 15일 개정에서 이러한 한우협회의 요구사항들이 반영됐습니다. 앞으로도 보다 현실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민 회장은 한우산업 안정을 위해 송아지 생산 안정제를 현실화시키고 젖소 수정란 이식 문제는 수정란 이식은 동일 축종간만 가능하도록 법을 개정해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우 정액 판매체계 개선, 가축재해보험 개선 등도 지속적으로 정부측에 요구할 것입니다. 특히 최근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축산 환경과 관련해서는 화학비료 감축정책과 국내산 양분 우선 사용 정책 추진을 요구하는 한편 토양양분관리제의 단계적 도입을 요구하려고 합니다. 배양육 문제는 반대입장을 강력히 표명하고 성장촉진제, 항생제 등 배양육 표기 강화를 요구하겠습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