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신지 기자]

지난해 낙농가 호당 평균 부채액이 전년보다 3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낙농가의 경영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국낙농육우협회 낙농정책연구소(소장 이재용)는 지난 18일 ‘2023 낙농경영 실태조사’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낙농가의 호당 평균 부채액은 6억8100만 원으로 전년 대비 9500만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0년부터 2022년까지 40%대를 유지하던 4억 원 이상의 고액 부채비율은 지난해 약 76.0%로 전년 대비 26.5%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1000만 원 이하의 부채를 가진 농가의 비율은 거의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0만 원 이상에서 1억 원 미만의 부채를 가진 낙농가의 비율은 전체의 11.5%로 전년 대비 3.1%포인트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

부채 발생원인으로는 △시설투자(33.5%) △사료구입(24.9%) △쿼터매입(19.0%)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설투자는 △축사 개·보수(20.6%) △착유시설(20%) △분뇨처리시설(14.8%) △세척수 처리(10.6%) 등이였다. 

이재용 낙농정책연구소장은 “생산성 향상과 축산환경분제 개선을 위한 투자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며 “낙농가들이 경영 애로사항으로 가장 많이 지적한 것은 부채문제로 2020년 이후 꾸준히 부채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낙농업의 미래인 후계인력 또한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후계자 유무와 향후 육성계획과 관련해 후계자도 없고 육성계획도 없다고 답한 농가의 비율이 44.9%로 가장 많았으며 그 비율이 전년 대비 7.2%포인트로 크게 늘어난 상황이다.

이 소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낙농가 부채와 후계자 부족, 고령화 등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 드러났다”며 “이러한 문제점이 낙농경영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낙농의 미래에 대한 불안이 증대되고 있는 만큼 낙농·육우 기반유지와 경영안정을 위한 정부의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