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수직농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울산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농지 이용규제를 혁신해 농업첨단화·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다고 밝히고 그 방안으로 스마트팜과 수직농장을 강조하면서 관심의 불을 지폈다.

수직농장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 로봇,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실내 수직 다단식 구조물에서 온·습도와 생산공정 자동제어를 통해 작물을 생육하는 공장형 농장으로 가장 발전된 형태의 스마트팜으로 꼽히고 있다.

세계 수직농장 시장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며 2028년에는 15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식량안보에 민감한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해외로부터 지난해 143071만 달러어치 수출을 수주 받은 것으로 알려져 향후 수출산업으로 성장 가능성이 큰 분야이기도하다.

이런 이유로 이날 윤 대통령은 스마트팜과 수직농장은 생산된 농산물뿐만 아니라 농업기술 자체로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라고 극찬했다. 지난해 자신이 직접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를 방문해 현지 시장을 타진한 결과 많은 이들이 스마트팜이나 수직농장과 관련된 기술이전이나 투자를 원했다는 경험도 전했다.

이러한 대통령의 의중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 25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을 발표하며 구체화됐다.

농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정부가 202210스마트농업 확산을 통한 농업혁신 방안을 발표하고 지난해 7스마트농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본격적으로 스마트농업과 연관산업 생태계 강화를 추진 중이나 정작 스마트농업에 투입되는 기자재와 서비스, 실내에서 환경을 완전히 제어하는 수직농장 산업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나 지원은 부족했다며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하게된 이유를 설명했다.

사실 현재 수직농장은 입지규제로 인해 본격적인 성장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건축물에 대한 농지이용 규제로 인해 농지에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ICT, 로봇, 식품기업 등 연관 기업들이 몰려있고 공장·발전소 폐열 등 에너지비용 절감에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도 많은 산업단지는 제조업, 지식산업 등을 입주대상으로 하고 있어 작물을 재배하는 즉 농업에 해당하는 수직농장은 입주가 허용되지 않았다.

이에 정부는 농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간의 협업을 통해 수직농장을 일정 지역 농지 위에 설치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연내 산업집적법, 산업입지법 시행령을 개정해 산업단지에 입주가능한 업종에 수직농장을 추가하기로 했다. 또한 농업경영정보 등록을 요구하는 정책사업 지원 대상에 수직농장이 포함되도록 농업경영정보 등록 기준도 마련하고 농업인의 경영비 절감을 위해 수직농장 작물 재배용 기자재의 부가가치세 환급 특례 품목 확대도 추진하기로 했다. 다양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올해부터 농식품부·산자부 합동으로 수직농장용 센서·ICT·로봇 고도화, 공장 폐열 활용 수직농장 운영실증 등 기술개발을 지원하기로 했으며, 내년에는 수직농장을 스마트팜 ICT 융복합확산 사업과 스마트팜 종합자금 지원대상에 포함시킬 방침이다

이번 스마트농산업 발전방안이 기후변화, 고령화 심화,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등 농업인 당면한 현안들을 해결하는 방안이자 농업을 첨단기술산업으로 전환시키고 새로운 고부가가치 수출산업으로 변모케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