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의 선진유기농업기술을 국내 유기농업에 접목시키자는 목적으로 최근 설립된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을 둘러싸고 `찬성파''와 `반대파''간의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3일 창립된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을 둘러싼 이같은 논란은 한마디로 사업목적이 과연 현실성이 있느냐로 압축되고 있다.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은 창립취지문을 통해 친환경 유기농업이 농산물 시장개방하에서 한국농업을 구할 수 있는 유일한 희망이나 한국토착유기농업기술을 실천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현재의 한국토착유기농업 기술은 국제유기농 규격(FAO/WHO CODEX 유기식품 규격, IFORM 기본규약, EU 규정, ARNOA 유기벼 기준 등)의 주요 원리와 핵심기술과는 너무나 상이한 농법이기 때문에 국제유기농업규격을 받아들이고 이를 철저히 실천해 나가야 한국농업이 살아남을 수 있다는게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의 설명이다.

특히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은 외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유기농제품에 효과적으로 경쟁하기 위해서는 국제유기농 기준을 실천하는 노력이 이 땅에서 적극 추구돼야 한다고 유기농업의 세계화를 거듭 강조했다.
이에반해 한국의 여건상 각종 국제규격 및 규약을 도입하기에는 시기상조라는 입장과 함께 `옥상옥''에 다름아니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게 제기되고 있다.

일례로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은 친환경 유기농 논 둘레에 지하 벽과 지상 벽을 설치해 외부의 오염된 환경과 완전 분리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데 말이 되느냐는게 이들의 주장이다.
여기다가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의 주요사업이 외국의 유기농전문가를 초청, 세미나를 개최하거나 현장연찬회를 열자는 것인데 이같은 역할은 기존 단체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을 둘러싼 이같은 찬반양론은 결국 우리나라 농업의 2%도 채 안되는 유기농업계를 양분시킬 수 있다는 우려로까지 번지고 있다.

특히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의 발기인 명단을 살펴보면 친환경 유기농업계에서는 나름대로 자리를 잡은 단체나 친환경 유기농업의 발전에 일익을 담당해 온 인물들도 상당수 끼어 있어 내용은 그대로인채 껍데기만 바꾸는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물론 국제유기농실천연합에서 주창하는 유기농업의 세계화는 장기적으로 필요하고, 미미하긴 하지만 국제유기농업규격이 우리나라에서도 적용되고 있어 무조건 터부시할 문제는 아니다.

여기다가 회원농가가 생산한 제품의 브랜드화, 한국유기농업 수준의 업 그레이드, 유기농 홍보 등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의 활동목표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의 활동목표를 모든 친환경 농업계가 공감하지 않고서는 자칫 `헛구호''에 그칠 수 있다는 것이다.
나아가 `니편, 네편''으로 갈려 벼랑끝에서 한줄기 희망을 찾은 친환경 유기농업 `붐''에 찬물을 끼얹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이다.
국제유기농실천연합은 기존 단체 및 친환경 유기농업계를 상대로 설립의 당위성을 적극 설득하려는 노력해야 하고, 기존 단체도 일방적으로 선을 긋기 보다는 함께 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는 지혜를 짰으면 하는 바램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