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업클러스터''
농업계는 아직 익숙치 않은 단어이다.

그러나 `클러스터''는 이미 세계 경제의 새로운 혁신 동력으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벌써 각국별로 `클러스터 경쟁''에 돌입한 상태다.
국내도 최근 몇 년 동안 지자체별로 `산업클러스터''를 새로운 산업전략으로 내세우며 발빠른 횡보를 하고 있다.

`클러스터'' 개념은 산발적으로 흩어져 있는 개별 주체의 역량을 하나로 뭉쳐 시너지를 창출하자는 것이다.
농업계에 도입하려는 `지역농업클러스터''개념도 같은 맥락이다.

성공 클러스터의 원형으로 꼽히고 있는 `실리콘밸리''처럼 거창한 클러스터는 아니더라도 일정지역에서 생산자단체와 관련 농산업 업체, 지방대학, 농업관련연구소, 시·군 등이 밀접하게 네트워크를 형성해 새로운 시너지를 창출하자는 게 지역농업클러스터 개념이다.

이는 새롭게 도입되는 개념일수도 있지만 현재 일부 지역에서 시도하고 있는 산업간 연계나 지역 구성원간의 협력체계를 보다 구조적으로 체계화시키고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해보자는 것이다.
지금과 같이 생산자(단체)는 생산자(단체)끼리, 농산업체는 농산업체끼리, 관련 대학이나 연구소는 그들끼리 따로 따로 움직일 게 아니라 공통의 분모를 찾아서 더 나은 모델을 찾아보자는 취지다.

머리를 맞대 현장의 문제점과 필요한 사안을 해결하고 이를 통해 성과를 도출하면서 또 다른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선순환구조를 만드는 데 주요 의의가 있는 것이다.

#더 나은 비즈니스 모델 창출
클러스터를 구성하는 목적은 지금의 시스템을 혁신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보다 부가가치를 높이자는 것이다.
복득규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세계적으로 `클러스터''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지역경제의 혁신을 촉진하는 유효한 조직형태이기 때문”이라며 “형태를 만드는 것보다 구성원간의 토의를 통해 합의체를 조직해 나가는 게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때문에 `클러스터''가 새로운 농산업 육성전략의 대안이라는 명분으로 우선 만들고 보자는 발상은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클러스터''의 목적은 그것을 만드는 데 있는 게 아니라 클러스터에 모인 기업과 기관들이 현재보다 높은 수익과 성과를 얻는데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정부, 국가균형발전 정책과 연계
농림부는 최근 지역농업 클러스터 정책방향을 수립중이다.
특히 이 사업을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과 조화를 이룬다는 차원에서 각 지자체 특성에 맞는 사업전략을 짜도록 유도하고 있다.

사업계획을 짜는 방식 역시 지자체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내 농산업관련 주제들을 중심으로 `농산업클러스터사업단''(가칭)을 구성하고 여기서 사업계획을 구체화하도록 했다.
농림부는 이 사업을 앞으로 10년간 지원하는 119조원의 투융자 사업의 핵심사업으로 발전시켜나간다는 전략이다.
농림부는 올해 각 지자체별로 사업계획서를 제출받아 시범사업을 확정하고 내년도에 본격화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