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농교류의 이론과 실제

농촌의 낙후 내지는 쇠퇴가 문제로 지적되면서 많은 농업정책과 지역개발정책이 시도됐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 대부분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농촌의 경제적 여건이 그리 나아지지 못했으며, 생활환경은 근대화됐으나 인구는 감소 내지 노령화됐고, 따라서 농촌의 전반적 활력이 저하됐기 때문이다.
이러한 농촌의 현실을 지적하며 도농교류 방식의 도입과 적용 필요성이 제기됐다.

△ 도농교류는 도시와 농촌의 상호관계
도농교류는 사람, 물품, 서비스, 정보, 문화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시와 농촌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농촌편에서는 도시와의 교류를 통해 농촌에 잠재하는 농촌다움, 자연, 전통 등의 자원을 도시민의 욕구에 부응하는 유형의 상품(tangible products)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화함으로써 소득을 높이고 산업구조를 다양화해 지역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도시편에서는 농촌과의 교류를 통해 건조한 도시적 삶의 양식이나 삭막한 현대적 물질문화에 대응한 농촌다운 것, 자연적인 것, 전통적인 것 등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대안적 삶의 양식과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기대한다.

▲ 효과적인 윈-윈(win-win) 전략
이처럼 도농교류는 농촌이나 도시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윈-윈(win-win) 전략으로서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진다.

특히 도농교류는 도시나 농촌 어느 한편이 아니라 양자 모두에게 이로운 방식으로서 양방향적, 반복적, 지속적 교류관계를 본질로 한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가령 농촌의 특산물이나 관광 서비스를 일회적으로 파는 유형을 교류라 칭하지 않으며 어느 한편이 다른 한편을 일방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교류라 칭할 수 없다.

그런데 최근 도농교류의 일환으로 활발히 추진되는 1사1촌 캠페인의 전개 과정은 사회 전체적인 붐 조성이라는 의의와 일련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혹여 도농교류 본래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것은 아닌지 하는 우려의 대목도 없지 않다.

즉 “남들도 다 결연을 맺는데, 우리도 어디 한 곳하고 맺어야 되지 않겠습니까”, “결연한 마을에 우리가 뭘 지원해 드리는 게 좋겠습니까”, 혹은 “결연만 맺었지 아무런 효과도 없습니다”라는 식의 이야기를 자주 들을 수 있는 탓이다.

△ 본질에 충실한 도농교류 3요소
분명 무엇인가를 상호가 지속적으로 주고받는 것이 교류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분위기에 밀려 형식적 결연을 맺으며 일방적으로 지원하거나 받는 것을 도농교류라 착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질에 충실한 도농교류를 위해 세 가지를 강조하고 싶다.

첫째, 소모성 이벤트를 경계하자. 누구한테 과시하기 위해 혹은 건수를 높이기 위해 결연을 맺어서는 곤란하다. 형식적 결연보다 중요한 것은 서로 기꺼이 이웃이 될 자세는 되어 있는지, 실질적 도움을 주고받을 준비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근시안적 성과주의를 경계하자. 양방향의 반복적 지속적 교류를 위해서는 교류 주체간의 인간적 신뢰가 형성되어야 한다.
개인과 개인이 만나 신뢰가 쌓이는 데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듯이, 결연을 맺었다고 하여 바로 무슨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셋째, 지나친 경제주의를 경계하자. 도농교류에 대한 농촌이나 도시의 수요가 반드시 경제적인 것에만 국한되어서는 곤란하다.
오히려 도농교류에 대한 농촌이나 도시 양편의 수요 기반이 농촌다운 것, 자연적인 것, 전통적인 것 등과 같이 농업·농촌이 가진 잠재자원인 만큼 이를 함께 가꾸는데 대한 긍지와 만족감이 더 중요한 성과이기 때문이다.

농업·농촌에 대한 정부의 정책과 지원이 지속되려면 그에 대한 국민의 공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도시민의 이해와 응원을 구하는 작업은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으며, 작금의 1사1촌 캠페인은 국민 모두가 농업·농촌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환영할 만한 일이 분명하다.

그러나 우리 농업·농촌이 어려우니 도시가 농촌을 일방적으로 지원한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농업·농촌이 가진 근사한 자원들을 함께 향유키 위해 대가를 지불한다는 인식으로의 전환이 곧 도농교류의 본질에 충실한 관계 형성의 바탕이 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