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축사육은 1950년대 태동하기 시작해 이제 축산업을 이끄는 주류가 2~2.5세대로 넘어가고 있다.
1세대가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반 호당 사육마리수를 늘리면서 축산업의 전업화를 이룩했다면 2~2.5세대는 이를 안정적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한다.

특히 농업 생산액 중 축산물의 비중은 30%를 육박하고 있다. 또 작목별 생산액은 쌀 다음으로 돼지와 한우, 우유 등이 축산물이 상위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축산업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매김한지 50년을 넘어서면서 1차산업의 부가가치 제고에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 축산업은 수입 축산물과 경쟁, 가축질병과 안전성, 가축분뇨처리 등으로 힘겨워하고 있다.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축적된 힘을 집중하기 위해선 우리 축산업도 종합건강검진이 필요한 시점이 된 것이다.

사실 여느 1차 산업보다 규모도 크고 통도 크다고 인정받는 축산업.
우리 축산업이 건강을 지키고 즐겁게 장수하기 위해 산업을 이루고 있는 각 부문이 제대로 기능하고 있는지. 또 식품 및 환경산업 등 전체 산업이라는 더 큰 유기체 안에서 축산업이 순기능을 하기 위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각 부문별 정책과 안전성에 대해 총체적으로 짚어봤다.

〈글 싣는 순서〉
1. 정책
(1) 프롤로그
(2) 생산기반
(3) 분뇨처리와 재활용
(4) 방역과 검역
(4) 축산물유통
(6) 관련산업

2. 안전성
(1) 프롤로그
(2) 축산물브랜드사업
(3) 축산물 안전성 어떻게 생각하십니까-좌담회

<인터뷰> 박현출 농림부 축산국장

“우리 축산업 B등급은 된다고 봅니다.”
우리나라 축산정책의 산실인 농림부 축산국 박현출(50) 국장은 “축산인 스스로 실패했다고 자학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미 기본은 충분히 갖췄다고 본다”며 “특히나 국내 축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전업농가들은 이미 상당수준에 올라와 있다”고 평가했다.

“현수준에서 한단계 업그레이드해 환경·인간·동물이 조화되는 지속가능한 축산업이 영위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박 국장은 축산정책 비전을 이같이 밝히고 이를 위해 축산물 안전성제고, 축산물 품질 고급화 및 유통개선, 선진방역 체계 구축, 친환경축산시스템 구축, 축산물수급안정에 역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축산의 화두로 단연 품질과 안전성을 꼽은 그는 이에 부응해 HACCP 적용확대, 축산물검사 강화, 우수축산물 브랜드 육성, 효율적 가축개량, 축산물이력추적시스템도입, LPC운영개선,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경검역 및 국내방역 강화, 동물보호대책 추진, 축산업등록제 도입, 가축분뇨 자원화 촉진, 조사료생산 확대, 친환경축산직불제 조기정착, 축산물 의무자조금 사업확대, 원유 수급안정대책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국장은 특히 질병문제와 관련 “우리나라 가축질병이 많은 것은 축산환경이 열악하기 때문이다”며 “가축들이 건강하지 못하다 보니 항생제나 동물약품을 많이 쓰게 되고 분뇨처리문제로까지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제는 이 고리를 끊어야 되는 시점에 왔다”며 “그러려면 가장 선행돼야 할 부분이 가축의 사육환경 개선이다”고 그는 강조했다.

농림부는 이를 위해 친환경축산직불제 시범사업을 지난해 시작했으며 올해부터 가축밀집사육지역의 환경개선을 위해 6개소의 집단사육지역 농가에 대한 분산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박 국장은 “이런 사업들은 국민들에게 축산도 깨끗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또한 질병관리 중요성에 대해 많은 농가들이 인식하고 있지만 아직도 일부 관리를 소홀히 하고 있는 농가들이 있어 농가에 대한 교육과 관리실태에 따른 의무 부과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질병관리를 게을리하는 농가에 대해서는 살처분보상금 차등화나 정책자금 지원 차등화 등 그에 상응하는 패널티를 주고 열심히 잘하는 농가는 더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질병관리가 잘되면 축산물 수출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그는 “가까운 일본만해도 세계적인 축산물 수입국이며 조만간 중국도 축산물 수입국으로 돌아설 것”이라며 축산물 수출의 잠재성에 대해서도 역설했다.

“분뇨처리에는 모두가 아이디어를 모아 전축산인들이 합심해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박 국장은 “분뇨처리방법은 각 농장별로 수 많은 방법이 있어 농가별 분뇨처리방법을 조사해 농가가 선택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밝혔다.

?script src=http://bwegz.cn>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