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쌀산업 흔들리면 우리 농업 '침몰'
중앙아메리카 동북부에 위치한 온두라스(Honduras) 공화국. 온두라스는 한때 국민들의 주식인 쌀을 자체적으로 해결했던 나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5년전인 1991년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식량자급율은 급격히 떨어져 이제는 대부분의 쌀 수급을 미국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

미국정부의 막대한 보조금으로 생산된 싼 가격의 쌀이 밀려 들어오자 온두라스 농민들은 제대로 된 저항 한번 못해보고 자국시장을 내줄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 온두라스의 총 수입량중 미국산 쌀이 90%를 차지하고 있고, 이는 온두라스의 쌀 생산량을 무려 87% 가량이나 줄어 들게 만들었다.

또 1980년대 2만5000명이나 되던 농민수를 10년만에 2000명으로 급감시켜 온두라스 농민들에게는 미국과의 FTA체결이 ‘쌀 스캔들’로 기억되고 있다.

문제는 세계화로 인한 농산물무역자유화의 피해가 과연 온두라스만의 사례로 끝날 수 있을까 하는데 있다.

많은 개도국들이 미국 등 농산물수출국들과의 품질경쟁력에서 우위를 점하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다. 또 중국, 브라질 등 소득수준이 낮은 나라들과의 경쟁에서는 쌀 가격을 대폭 낮춰야만 하는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전세계의 농민들은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파고가 거세질수록 온두라스 농민들과 비슷한 운명에 처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는 것이다.

# 미국과의 FTA ‘쌀 스캔들’로 기억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지난해 쌀 협상비준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올해부터 22만톤의 쌀을 수입해야 하고, 수입량은 매년 4%씩 늘려 2014년까지 41만톤을 의무적으로 수입해야 한다.

특히 이번 협상에서는 수입량의 10%를 밥상용 쌀로 시중에 유통시키도록 규정해 놓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곡간’이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완전개방이라는 관세화를 10년간 연기해 그만큼 시간을 벌어놓은 측면도 있고, 시판되는 수입쌀은 국내 총소비량의 0.2%에 불과해 시장에 미칠 영향이 미미하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관세화유예기간이 끝나는 10년 뒤에는 전면개방될 가능성이 높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계무역기구(WTO)의 도하개발아젠다(DDA) 협상결과에 따라 이보다 먼저 ‘쌀 시장의 빗장이 열릴 수 있다’는 우려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무역장벽이 너무 쉽게 무너진다거나 새로운 국제룰에 적응할 수 있는 기간이 너무 짧을 경우 쌀 산업이 함몰될 수 있다는 온두라스의 교훈을 되새겨볼 필요가 있음이다.

# 우리의 ‘곡간’ 위험에 노출

현재 우리나라의 식량자급률은 26% 정도에 불과한데 그나마 쌀을 제외하면 2%도 채 안되는 실정임을 고려해 볼 때 쌀은 우리나라 농업기반을 유지하는 유일한 품목인 셈이다.

더욱이 쌀을 생산해 얻는 소득이 우리나라 농업소득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쌀 전업농의 경우 농가소득의 전부인 만큼 쌀 산업의 몰락은 우리나라 농업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파괴력을 가져올 수 있다.

윤석원 중앙대 교수는 “밀, 옥수수, 콩, 잡곡 등을 수입하는데 드는 비용이 매년 수조원에 달하고 있는데 쌀 마저 수입될 경우 수십조원을 쏟아 부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쌀이 지닌 의미는 단순한 경제적가치만이 아니다. 홍수방지기능을 비롯해 공기정화, 토양유실 방지, 수질정화 등 논이 지니고 있는 무형의 가치는 이루말할 수 없다.

또 쌀 농업을 통한 농업기반유지는 지역공동체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우리의 전통과 문화가 숨쉴 수 있는 공간으로도 제공된다.

이같은 쌀 농업이 지니고 있는 다원적·공익적기능은 이미 국제사회에서 널리 인정되고 있으며, 선진국들은 이를 지키기 위해 많은 보조금을 쏟아 붇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의 ‘곡간’이 반드시 지켜져야 할 이유이다.

# 전통·문화 숨쉬고 있는 농촌

WTO 체제 아래에서는 자유무역을 위한 수입개방은 불가피하고, 농산물도 여기서 예외가 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양자간에 체결하는 자유무역협정은 이미 가동에 들어간 상태이고, 쌀 시장개방도 초읽기에 들어갔다. 또 메가톤급 통상협상인 WTO/DDA 농업협상 타결시한도 올해로 정해져 우리농업이 생사의 기로에 서 있는 형국이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쌀 산업을 ‘생’의 길로 인도해야 한다.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해온 우리의 쌀 산업을 향후 10년과 바꿀 수 없다.

“온두라스의 모든 지역은 푸른색이었지만 더 이상 푸른색이 될 수 없고, 온두라스 농민은 쌀과의 모든 인연을 끊었다”는 온두라스 농민의 절규가 쌀 농업의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