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출범과 함께 농림부가 ‘농수산식품부’로 개편되면 명실 공히 농림부가 식품산업의 주무부처가 된다.

“농·어업도 생존을 위해서는 식품 판매까지 염두에 두는 2차, 3차 산업이 돼야 하며, 이를 위해 농수산식품부라는 확대된 부처를 만들었다”는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말처럼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과의 껄끄러운 관계 속에서 식품산업을 농업의 주무부처가 가져 온 것은 반길 일이다.

농림부도 정부조직 개편과 함께 새로 신설되는 식품산업본부에 대한 조직 구성과 사업 영역을 마련하는 데 고심 중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한편으로는 ‘무늬만 식품산업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높다.
식품산업의 주무부처가 됐음에도 식품안전 분야는 여전히 식약청 소관을 둬 사실은 보건복지부 내에 식품정책팀의 기능만 가져온 꼴이 됐기 때문이다.

사실 기존 보건복지부 식품정책팀의 주요 업무가 식품위생 및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책·제도 수립과 식약청의 정책에 대한 승인 업무이고 보면 “막상 식품산업 진흥을 위한 사업을 찾아보니 하나도 없다”는 걱정이 나올 만하다.
그러나 명심할 것은 어쨌든 농림부가 식품산업의 주무부처이고 이를 총괄할 식품산업본부가 만들어 진다는 것이며, 또한 농업인과 식품업체들은 농림부에 거는 기대가 크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농림부가 올해부터 농산물 유통교육을 산지 이외에 식품·외식분야까지 확대하고 식품산업 진흥과 연계된 예산도 2000억원 수준에서 1조원까지 늘릴 계획을 갖고 각종 사업 개발에 나서고 있어 다행이라 싶다.

‘식품안전 업무가 일원화되지 않아서’, ‘아직은 식품업계와의 연계가 부족해서’ 등 주무부처로서 갖가지 어려움을 토로할 수는 있다. 그러나 볼멘소리만 한다고 해서 당장 변하지도 않는다. 이제 농림부도 농업인과 식품업계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일을 스스로 찾아야 할 때다. 스스로의 몫은 스스로 찾아야 할 때인 것이다.

<박유신 농식품팀 수석기자>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