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귤 생산자들이 잇따라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의 유통근절을 자율적으로 결의한 가운데 덜 익은 감귤을 수확하거나 강제로 착색해 유통시키려던 상인이 잇따라 적발됐다. 이 같은 행위는 소탐대실의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상품성이 없는 감귤 유통은 시장질서만 어지럽힐 뿐이다. 미꾸라지 한 마리가 흙탕물을 일으켜 우물물 전체를 흙탕물로 만드는 경우와 다를 바 없다. 더 이상은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이 유통되는 사태가 빚어지지 않기를 바란다.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자율결의는 반드시 실천에 옮겨져야 한다. 상품성이 없는 감귤 유통은 시장질서만 어지럽혀 감귤재배 농가는 물론 유통업체에게도 손실만 가져다줄 뿐이다. (사)제주감귤협의회를 비롯한 감귤생산자단체의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의는 시장 질서를 바로잡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올해 감귤가격 안정에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올해 감귤 수급상황은 그 어느 때보다 낙관적이다. 올해 감귤생산량은 51만3000톤에 달할 것이라는 게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관측이다. 한때 70만톤 이상이 생산되면서 감귤가격 폭락세가 이어져 감귤농가들이 자율적인 생산 감축에 나선 결과이다. 이에 따라 올해는 강제적인 행정력을 동원한 유통명령제도가 발동되지 않는 가운데 감귤 생산자들이 자체적으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감귤의 유통 근절에 나선 것이다.

(사)제주감귤협의회는 지난달 30일 농협제주지역본부에서 농협제주지역본부와 (사)전국과실중도매인연합회, (사)전국농협중도매인연합회, 공영도매시장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주 감귤의 원활한 유통처리와 품질향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고품질 감귤을 공급키 위한 상호 업무 협약도 체결했다.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에 생산자만이 아니라 유통업체까지 두 팔을 잡고 나선 것이다. 제주도내 농협들도 자체적으로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을 결의하고 있다.

제주도는 지난 1일 제주도청 앞 광장에서 자치경찰과 행정시 및 읍·면·동의 단속 공무원, 농협 단속반 등 모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의대회를 겸한 단속반 출정식도 가졌다.
하지만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의만으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앞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자율근절을 위반하는 사태가 적발됐으며, 올 가을 과일시장은 침체일로다. 과일 생산량의 3분의 1을 소비한다는 추석시장이 9월 초순에 형성되다보니 막상 과일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시기에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서 과일시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여기다 미국 발(發) 금융위기로 시작된 금융·외환시장의 불안과 실물경기침체는 전반적인 소비침체를 불어오고 있다. 추석대목시장까지 낀 지난 9월 대형마트의 소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도 감소했다는 최근의 통계발표가 최근의 경기상황을 대변해준다. 추석특수가 있었는데도 오히려 매출이 줄었다니 최근의 국내 경기상황이 얼마나 얼어붙었는지 짐작이 간다. 환율급등은 감귤과 경쟁해야 하는 열대과일 수입을 자제시키는 요인으로도 작용하겠지만, 앞으로 실물경기 침체를 경고하는 전망이 국내외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어 감귤가격의 안정에도 적신호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감귤생산자의 비상품 감귤 유통근절 결의를 주목하고, 자율결의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감귤생산농가와 유통업체는 감귤가격 안정을 위해 비상품 감귤 유통을 근절시키는데 한마음이 돼야 한다. 특히 이를 위반하는 경우 강력한 철퇴를 내려 재발되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