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을거리의 안전성이 최대 화두로 떠오른 요즘 안전의 보증수표처럼 인식되고 있는 것이 있다. 바로 HACCP 이라고 불리고 있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이 그것이다.

우리 정부가 선진국 수준으로 식품안전을 달성하기 위해 세운 식품안전 종합대책에 따르면 오는 2012년 까지 HACCP 적용 식품생산량을 30%에서 95%까지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과연 실현이 가능할지, 어느 정도의 효용성이 있을 지에 대해 의심하는 이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과 한국HACCP연구회는 지난 5일 ‘축산분야 HACCP 제도 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 내용을 살펴본다.

#HACCP, 무조건적인 확대보다는 전문성 갖춰야

주제발표를 맡은 홍종해 강원대학교 수의학부대학 교수는 HACCP 이론은 훌륭하지만 각 업소에 적합한 프로그램 개발이 어려우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준수해 운영하기는 더욱 어렵다고 지적했다.

즉 HACCP이 주먹구구식으로 운영될 것이 아니라 전문가에 의해 계획되고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

홍 교수는 HACCP운영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문성이며 이를 위해 업무수행의 표준화와 교육훈련 정비 등을 주문했다.

HACCP 기준원은 평가기관으로의 전문성을 제고, 연구 기능을 배양하는 한편 외국업체의 HACCP 감사가 가능할 정도의 글로벌화가 필요하며 기업체는 업종별 협의체를 구성해 자체적인 HACCP 효율성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HACCP 업무를 맡고 있는 담당 공무원은 이분야의 전문가 수준의 지식과 업무능력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하고 과연 우리가 그 수준에 도달했는지에 대해 반문했다.

아울러 실습위주의 교육훈련기관 마련을 비롯해 외국 전문가를 초빙해 교육을 시키는 등 공무원 전문과정 운영을 통해 업무수행의 표준화를 이뤄야 한다고 주장했다.

#홍보강화와 형식탈피 등 해결과제 산재해

HAPPC 이해를 돕기 위한 적극적인 홍보 등 해결과제에 대한 다양한 논의도 펼쳐졌다.

이범준 충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는 “HACCP 인증에 대한 메리트가 없을 정도로 일반 소비자들의 HACCP 인식과 이해가 매우 부족해 좀 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며 “형식적이고 천편일률적인 HACCP 기준서도 문제가 있기 때문에 각 도축장 특성에서 작업공정상의 위해분석을 철저히 해 그 위해요소를 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전문가의 진단과 그에 따른 기준서의 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경진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의 HACCP 이 너무 시설중심으로 돼있고 업체를 비롯해 정책당국까지 시설투자를 HACCP 수행의 종착점으로 착각하고 있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비자단체는 실제로 도축장을 찾아 평가한 도축장 HACCP 운영수준평가 결과를 자료로 보여주며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향기 한국소비자연맹 부회장은 “종사자의 HACCP 이해가 부족하며 HACCP 조직이 비현실적이고 운용도 미비하다”며 “작업장에 맞는 HACCP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HACCP을 적용하고 있는 업체에서는 현장에서 겪고 있는 운영상의 문제점에 대해 토로했다.

서상근 CJ제일제당 신선 진천육가공장 공장장은 HACCP을 하기 위해 너무나 많은 문서가 필요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유병삼 서울우유 품질보증본부장은 기준서와 체크리스트 운영에 업체별, 작업장별 상황에 따른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원택 푸드원택 박사는 “식품안전은 기준서마련이나 시설개선, 인증획득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며 “모든 식품에서 HACCP을 도입해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려면 무엇보다 열린 마음으로 정부와 학계, 산업계, 소비자들이 서로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