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농촌인력의 고령화·부녀화가 진행되면서 고역작업인 동시에 고도로 위험한 농작업인 방제작업을 해결할 수 있는 무인항공방제헬기의 보급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정부·농협 등은 2013년까지 농용무인헬기 보급을 500대까지 늘리고, 2012년 벼 재배면적의 10%까지 무인헬기를 통한 방제를 실시하겠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또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관련업체도 기존 일본제품 수입업체 1개사에서 최근에는 국산업체 등 5~6개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보면 과연 이와 같은 계획대로 우리나라 항공영농의 꿈이 펼쳐질 수 있을까하는 의구심을 저버릴 수 없다.

관련기관 자료에 따르면 국내 농용 무인헬기 관련 사고율은 지난해 33%에 달한다. 이는 아직 보급 초기에 있는 기계적인 결함과 더불어 전용 주파수를 사용하지 못해 생기는 구조적이고 제도적인 문제점도 내포돼 있는 결과치라는 분석이다. 또한 무인헬기는 1대당 1억5000만원에서 2억원에 달하는 고가이지만 살포비용은 3.3㎡당 25원으로 1대당 연평균수입은 기체가격의 1/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보험료는 대당 연간 800만원, 수리비는 5년을 사용했을 경우 연평균 850만원이나 소요돼 경제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또 무인헬기를 조종하기 위해서는 자격증을 갖춘 조종인력 3명, 보조자 한두 명 등 최소 4명이나 필요하지만 이와 관련된 조종사 육성방안이나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든 게 현실이다.

한편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대당 수억원씩 하는 무인헬기를 짧은 기간 내 500대를 보급하겠다고 나서자 너도 나도 사업에 몰려드는 현상을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다. 일본의 경우에도 개발 초 야마하·구보다·얀마 등 유수의 업체들이 뛰어들었지만 기술적 어려움과 효율성 저하로 사업을 포기하고 야마하 한개 회사만 그 기술을 이어오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 업체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무조건적인 보급에 앞서 제도적인 미비점 보완이나 경제성·실용성·효율성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수백억·수천억원이 소요되는 사업은 일회성 이벤트나 문제사업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인지해야한다.

<이남종 농수산식품팀 차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