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는 우리나라 농업연구개발 환경이 가장 크게 변화했던 한해였다.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육성법’이 제정돼 ‘농림수산식품기획평가원’이 설립되었고, 오랫동안 각계에서 요구해 왔던 농업기술 연구결과의 실용화를 위해 농촌진흥법이 개정돼 ‘농업기술실용화재단’도 설립됐다.

연말에 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 보고된 ‘농림수산식품 과학기술육성 종합계획’에는 농업R&D정책 종합조정체계를 강화하고, 수요자 중심으로 R&D 관리체계를 개편하며, 연구주체의 핵심역량 강화, 민간투자 및 실용·산업화 촉진, 지역 R&D 활성화, 생산 현장에의 기술보급체계를 고도화 하는 등의 6대 전략이 제시됐다.

또 ‘과학기술정책연구원’에서는 저탄소사회 조기실현을 위한 녹색기술 확보 및 확산과 고용창출형 과학기술혁신체계의 구축,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창의성 제고,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한 과학기술의 선도적 역할 제고, 거대과학 기반구축 및 연구 활성화, 과학기술 혁신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공·민간 파트너십 재정립,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허정책 수립, 가치창출형 공공연구기관 체제 구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성공적 구축, 국격(國格) 제고를 위한 G20 과학기술협력체제 구축 등 2010년 과학기술 10대 정책을 내놨다.

이와 같이 농림수산식품분야와 국가과학 기술트렌드의 핵심은 정책, 현장, 실용과 창의라는 몇 단어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국가정책에 연구개발이 얼마나 기여하는가? 국가의 정책이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1970년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에서 현재는 돈 버는 농업, 자연환경 보전, 안전한 식생활, 일자리 창출 등의 많은 요구에 따라 과학기술의 10대 정책과 농림수산식품분야의 6대전략 그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농업녹색기술개발, 품목별 경쟁력 제고기술 개발 등 5대 핵심추진과제들을 적극 추진해 나갈 정책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둘째, 농업현장과 소비자에게 얼마나 적용되는가? 셋째, 개발된 기술이 얼마나 실용적인가? 넷째, 모방의 수준을 넘어선 미래를 대비한 창조적인 기술인가? 등 전략과 과제를 잘 추진하기 위해서 우선 밭을 깊게 갈아야 할 몇 가지가 있다.

국가, 대학, 지자체기관, 민간 등의 농식품 연구개발들이 기관 간 역할분담과 정책수행 기여도를 현장에서 평가해야 한다. 또한 과제별 예산의 적정성 평가를 위해 종합적인 R&D와 R&BD간 예산 배분도 함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연구개발자의 능력발전을 위한 종합 관리지원프로그램 운영 등 특별전문가 양성제도가 있어야 하며 획기적인 인센티브도 뒤따라야한다. 이러한 것들을 종합적으로 처방하기 위해서는 농산업육성을 위한 기술과 관련한 주변 법과 제도가 종합적으로 검토돼야한다.
한국농업 R&D의 성과가 농업현장에 직접 닿을 수 있도록 깊게 갈아야 할 때인 것이다.

<조은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본부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