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사이 모유수유 운동이 일고 있지만 직장인 여성들에게 모유 수유란 쉽지만은 않은 일이다.

때문에 조제분유를 선택하는 엄마들은 여전히 많은 것이 사실이다. 소중한 아기를 위한 분유 선택 기준이 까다로운 것은 자명한 것.

중국산 멜라민 분유, 잊을 만하면 매년 발생하는 분유 사건. 까다로운 엄마들의 걱정은 커지고 있지만 명확한 진실을 알기란 쉽지 않다.

언론지상에서 보도되는 것만으로 보면 우리나라 분유는 위험하기 그지없다.
정말로 그럴까? 조제분유에 관한 다소 불편한 진실 알아봤다.

上. 대한민국 조제분유, 오해
下. 대한민국 조제분유, 진실

#조제분유 신고 3년간 1000여건, 문제된 것은 10건 내외

아기에게 분유를 타 줄때 엄마는 젖병용 전문 세정제로 1차 소독을 한다.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젖병용 소독제는 99%의 소독효과가 있어 열소독이 필요없다고 광고를 하고 있지만 엄마는 더욱 확실한 소독을 위해 젖병용 소독기에 넣고 8분간 열소독을 한다.

시중 판매되는 분유 중 최상급의 분유를 구입한 엄마는 큰 기대를 갖고 분유를 탄다. 그런데 분유가 이상하다. 뭔가 멍울져 있는 것 같아 기분이 좋지 않다. 갑자기 떠오른 중국산 멜라민 분유와 대장균 분유사건. 비싼 분유지만 한 통을 다 버리고 나니 기분이 나쁘다. 소비자 보호원에 전화를 해봤지만 뾰족한 답변이 없다. 아기는 민감한 편이어서 분유를 바꾸기도 쉽지 않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

위와 같은 불만으로 한해 소비자보호원에 신고되는 분유불만신고건수는 줄잡아 300여건에 이른다.

소비자보호원에 따르면 조제분유와 관련된 상담은 2007년 319건, 2008년 363건, 2009년 320건에 이른다.

그러나 이 중 실제로 문제가 돼 실가 보상을 받거나 제품교환을 받은 사례는 10건미만에 이른다.

1%에도 못 미치는 수치다. 검역원 감시조사과에 신고된 건수를 살펴보면 지난해 기준으로 296건의 이물신고 중 70건이 분유관련 신고로 이 중 1건만이 문제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분유를 감시 조사하고 있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 담당자들은 우리나라 분유 제조 수준이 선진국의 수준에 못지않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전세계에서 조제분유를 생산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과 유럽 등의 10개 내외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들은 조제분유를 생산하는 공정은 매우 까다롭고 기술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조제분유를 생산하는 나라는 많지 않다고 설명하고 있다.

검역원의 한 관계자는 “소비자가 분유에서 벌레나, 금속물질 등의 이물을 발견했다고 신고를 해 조사를 해 보면 분유는 열처리를 거치기 때문에 이물도 반드시 열처리를 거쳤어야 하지만 그런 흔적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며 “분유의 특성상 자주 여닫으면서 소비자 과실로 이물이 들어가는 경우가 대다수다”고 설명했다.

#대장균군, 호주·미국보다 우리가 더 엄격해

최근 문제가 불거진 대장균군 문제는 40년만에 대장균 검출 기준을 완화한 후 한 분유업체에서 처음 나온 초과 사례를 보도자료 배포 없이 홈페이지에 게시만 해 은폐의혹을 샀다고 언론보도 되면서 소비자들의 걱정을 증폭시켰다.

이와 관련 정부는 2008년 1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개최한 정책세미나의 분유 대장균 검출기준의 개정 제안에 따라 여러차례의 자문위원회를 포함해 입법 예고와 고시 개정안의 국제기구 기술위원회 통보 등의 정식 절차를 거쳐 같은 해 12월 개정 고시를 공포했다고 밝혔다.

또한 분유에서 병원성 미생물인 엔테로박터 사카자키균 등 검출과 달리 위해도가 낮은 일반 대장균군이 검출될 경우 보도자료를 배포하지 않는다고 설명한 바 있다.

검역원측에 따르면 대장균군 중 병원성이 있는 미생물은 별도로 검사를 하며 이 사례에서 발견된 대장균군은 일반대장균군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준에 일부 부적합 사항이 있어 회수 조
치를 내렸다는 것이다.

검역원의 한 관계자는 “대장균군에 대해서는 미국, 호주 등의 대장균군 관리 보다 우리나라가 더욱 엄격하다”며 “대장균군이 검출된 이 사례도 호주나 뉴질랜드 기준으로는 적합한 것으로 판정 된다”고 지적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아기가 태어나 모유를 먹게 되더라도 모유 안에도 장내세균은 반드시 포함돼 있다”며 “대장균군이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지만 적합한 기준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는 것은 소비자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