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가능한 건강한 먹을거리·지역경제 순환…도농간 삶의 연대 확대
- 농정연구센터, ‘한국농업·농촌 발전의 대안모색’ 심포지엄

먹을거리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화두로 떠오른 ‘로컬푸드’의 개념은 지역 내 생산과 소비라는 폐쇄적 의미가 아닌 ‘지속가능한 건강한 먹을거리’의 포괄적인 의미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지난 1일 농정연구센터(이사장 정영일)가 주최하고 농수산물유통공사와 농수축산신문, 농협중앙회,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한국농어촌공사가 후원한 ‘한국농업?농촌 발전의 대안모색’ 심포지엄에서 ‘로컬푸드’의 올바른 방향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허남혁 충남발전연구원 초빙연구원은 ‘로컬푸드운동의 제도화를 위한 과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지구온난화로 인한 글로벌 식량위기, 학교급식의 정치의제화, 먹을거리 공포의 확산 등 다양한 요인의 사회변동과 푸드시스템의 변화를 통해 로컬푸드 담론이 형성됐다”며 “이제는 ‘식(食’)과 ‘농(農’)간의 거리와 관계를 좁혀 나가야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로컬푸드의 로컬(local)이라는 의미를 글로벌(global)과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으로 지나치게 협소화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이므로 농민장터, 공공급식, 도시농업, 소비자참여형농업 등을 방법으로 하는 포괄적 개념의 정립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농식품을 농식품산업으로 정의해 지금까지 농촌과 도시를 분리했던 체제에서 도농상생, 공동생산 등 소비자와 도시민의 역할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조완형 한살림 상무이사는 “근대화학농업이 아닌 친환경 지역순환농업을 근간으로 하는 로컬푸드 운동을 전개해야 하며 소비자권리, 주권 행사가 아닌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고 연대하는 먹을거리 운동을 통해 도농간 삶의 연대를 확대시킬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유정규 지역재단 운영이사는 “로컬푸드운동을 단순히 먹을거리의 흐름으로만 파악해서는 안 되고 지역경제의 순환이라는 넓은 의미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학교급식문제도 단순히 아이들에게 안정한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농업을 살리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환경보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내용을 확대해야 하는 것”이라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