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즈니스모델 만들어 지원시스템 구축·현실적 기능 초점 특성화 필요
''Foodfolis 맞춤형 기업유치 전략모색'' 토론회

익산에 조성하는 국가식품클러스터인 푸드폴리스(Foodpolis)가 기업유치에 성공하려면 지역 개념의 클러스터 형태가 아닌 실제적 구조 방안이 구축되고 식품업체가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책이 제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7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전북도, 익산시 주최로 aT센터에서 열린 ‘FOODPOLIS 맞춤형 기업유치 전략모색’에서 토론에 참석한 학계와 기업, 연구 관계자들은 과거 외형적 형태에만 국한됐던 클러스터의 구조를 답습해서는 식품업계의 입주를 유도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최지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식품유통팀장은 “푸드폴리스가 지향하는 목표가 고부가가치개발, 동북아 식품허브 등인데 업체들이 실감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구체화 작업이 필요한 듯 보인다”며 “식품회사 입장에서는 시장개척을 주력해야 하는 것인지 연구개발에 중점을 둬야 하는 것인지 덩달아 목표가 불분명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식품회사들도 자체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는 곳들이 많은데 이 클러스터 내에서 제시하는 R&D의 역할 범위가 명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센터 팀장 역시 하드웨어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도 잘 갖춰진 클러스터 형태가 돼야 하므로 그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기업지원시스템의 구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김태연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교수는 “클러스터라는 이름으로 썼을 때는 그에 맞는 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지금까지 추진해 온 정책은 클러스터와는 다르다”며 “어떤 클러스터든지 연구기반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이를 토대로 창업과 연계가 가능한 것이니 기업들이 자생할 수 있도록 정부가 기반지원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업계의 입장에서도 공장이전 등에 관한 손해를 감수하고라도 이전을 하고 싶게 만드는, 실체적인 니즈에 부합하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기식 한국식품공업협회 이사는 “기업은 결국 이윤을 보고 움직일 수밖에 없으니 이에 대해 예측 가능한 청사진과 구체화된 마스터플랜이 분명히 있어야 한다”며 “업체와의 1:1 상담을 통해 정말 필요한 부분을 세부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택환 풀무원푸드머스 마케팅팀장은 클러스터 조성도 좋지만 특성화가 되지 않으면 경쟁력이 없음을 시사하고 원료공급부터 차별화될 수 있는 현실적 기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업체 입주는 2012년부터인데 2020년에 물류센터가 완공된다니 마치 아파트 지어놓고 입주가 끝나고 나니 학교, 병원 짓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물류센터 없이 중소기업들이 먼저 들어온다면 경쟁력에 뒤져 대부분 망하게 될 것이라 꼬집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