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식품부·국제농업개발기금, 심포지엄

소농위주 개도국의 지속가능한 식량안보를 위해서는 이들 국가간 공조체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농림수산식품부와 국제농업개발기금(IFAD)이 공동으로 지난 23~25일 3일간 서울 팔래스호텔에서 주최한 ‘소규모영농을 통한 지속가능한 식량안보’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표자들은 이같이 지적했다.

한두봉 고려대 교수는 이날 ‘글로벌 곡물시장의 불안정하에서 지속가능한 식량안보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 경우 대형메이저 곡물회사를 통한 곡물수입의존도가 60%대로 불안전한 요소를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자국내 곡물회사를 설립하는 방안과 소농위주의 국가들이 연계해 대응하는 지역공동체제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종합토론에서 윤석원 중앙대 교수는 “세계 전체 농가 중 80~90%가 중소농구조를 가지고 있어 중소농에 대한 정책배경이 없을 경우 세계적인 식량안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특히 전세계 2ha 이하 5억명의 소농중 87%가 아시아 지역에 몰려있어 아시아 지역의 식량안보에 대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중소형 농가에 대한 정책지원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소규모 농가는 친환경농법에 적합하며 지구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가 대형농가보다 유리한 입지에 있을 뿐 아니라 로컬푸드나, 학교급식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며 소규모 영농의 중요성을 역설 했다.
그는 “세계적인 지속가능한 식량안보를 위해서는 현재 WTO구제체제를 벗어나 농업의 문제를 경쟁력이란 잣대로 봐서는 안된다”며 “선진국등도 빈곤국 지원을 위해서는 직접적인 지원이외 소규모 영농을 위한 농업기반과 농업기술 등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