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 식량확보 위해 1조엔 투입…농업·농촌산업화 실천
식량증대 필요성 교육·홍보…획기적 정책 수립 절실
농경연·식량안보재단, 토론회

우리나라 정부와 국민들의 식량안보에 대한 불감증이 심각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은 지난달 29일 서울 aT센터 중회의실에서 제2회 식량안보 세미나 ‘식량안보정책 개발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이철호 한국식량안보연구재단 이사장의 ‘한국과 일본의 식량안보정책 비교연구’라는 주제발표에 따르면 일본은 올 3월 ‘식료?농업?농촌 기본계획’을 대폭수정, 2020년까지 식량자급률 목표치를 50%까지 상향조정했으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일본은 기본계획을 통해 자국산 쌀의 소비확대를 기조로 2008년 기준 85만톤 생산되던 밀을 2020년 180만톤으로, 쌀가루용 쌀 생산을 0.5톤에서 50만톤으로, 사료용쌀 0.9톤을 70만톤으로, 식용대두 26만톤 생산을 60만톤으로 증산하는 획기적인 목료를 세웠다. 또 이를 위해 1조엔의 재정 투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식품안전과 소비자의 신뢰확보, 식품산업의 지속적인 발전, 농경지 확보 등 종합적인 식량안보 보장과 농업?농촌의 6차 산업화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실천하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국가 식량안보에 대한 불감증이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이철호 이사장은 “지구온난화에 따른 식량생산 감소, 중국?인도의 동물성식품소비확대, 곡물을 이용한 바이오 연료 생산확대 등으로 앞으로 10~20년 이내 세계적인 식량대란이 올 것으로 예측된다”며 “하지만 곡물자급률 26%, 식품에너지자급률 50%에 불과한 한국사회는 식량자급률 향상의지가 보이지 않으며 이는 식량안보에 대한 국민적 의식이 희박하기 때문에 정책적 대안이 나올 수 없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 이사장은 “따라서 국민에게 현재 실상과 앞으로 예견되는 어려움, 식량생산증대의 필요성을 교육?홍보하고 식량자급률 향상을 위한 국민운동을 전개하는 한편 식량안보차원에서 식품산업을 육성해 어려워진 세계 식량구조 속에서도 해외 식량자원을 우선적으로 들여오는 첨병역할을 감당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농업과 식품산업이 양축이 돼 국가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페러다임의 설정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 획기적인 식량안보정책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