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구매·공동 물류시스템 구축…유통비용 감소 필요

친환경무상급식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공동구매, 공동물류시스템을 구축해 유통마진을 줄이는 효율성 제고가 최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효율성이 우선 고려되지 않은 친환경무상급식은 과도한 비용 발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므로 아이들의 건강한 먹을거리, 농민을 위한 친환경무상급식 취지의 지속가능한 정착을 위한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난 7일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서울특별시의회와 (사)전국친환경농업협의회가 주최한 ‘제2회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대토론회’에서 발제에 나선 최영찬 서울대 농경제학부 교수는 농식품 식자재유통의 영세성과 다단계 유통으로 비용이 증대되고 관행거래가 만연한 현실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광역 학교급식 시스템 구축 및 모델 정립’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위탁급식에서 직영급식으로의 전환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통마진이 45.1%에 달하는 유통구조는 개선돼야 하며 투명성 확보를 위한 직거래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농수산물유통공사가 2009년 발표한 가격대비 유통비 비율을 살펴보면 쌀은 19.6%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나 배추(71.2%), 무(70%), 상추(72.6%), 당근(78.3%) 등 엽근채류는 평균 72.1%로 매우 높은 편이다.

최 교수는 또한 “설문조사 결과 학교의 대부분인 82.5%가 지역농산물 사용 확대에 의향이 있다고 답변했지만 이를 위해서는 아직 현실적인 과제가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그가 지적한 지역농산물 연계의 과제로는 △교육청-지자체간 협력 미흡 △지역농산물 공급주체 육성의 부재 △다단계 유통구조로 인한 공급체계의 비효율성 △불규칙적인 발주로 인한 계약재배 한계 △낮은 예산지원 △시군단위 지자체 지원사업의 한계 등이 있다.

한편 토론에 나선 조은주 원효초등학교 영양교사는 친환경급식학교의 경우 납품업체를 별도로 평가·선정하지 않아 인적, 물적, 시간적 노동력과 비용이 절감되고 식재료에 대한 품질을 확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많은 단점도 지니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교사는 “산지에서 고구마가 kg당 1800원이면 서울친환경유통센터에서 세척을 하면서 4500원으로, 껍질제거까지 하면 6500원까지 가격이 높아진다”며 “친환경급식의 경우 서울친환경유통센터에서 결정한 월별 식재료 단가가 고정되어 변경이 불가능하고 일반농산물의 경우 일반학교보다 높은 가격으로 공급받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또 일부 식재료 가격이 급등했을 때 이에 대한 대안이 없어 식단 작성에 혼선을 야기해 급식의 질을 떨어뜨리는가 하면 식재료에 문제가 발생됐을 때 센터와 배송업체간 책임소재가 불분명한 것도 이유로 꼽았다.
뿐만 아니라 친환경농산물의 공급부족으로 일반제품이나 저질 제품이 친환경으로 둔갑할 우려가 있고 실제로 그러한 사례들이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친환경 제품은 못생기고 벌레가 있어야 하며 과일에서도 신맛이 강하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어 어려움이 많다며 친환경급식이 확대되려면 이런 측면이 반드시 개선돼야 할 것이라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