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우도 한우, 돼지, 닭과 같이 정식 축종으로 분류해 정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대책이 마련됐으면 합니다. 더불어 육우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좋지만은 않은 관계로 이참에 육우라는 명칭을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명칭으로 변경하는 방안도 강구했으면 합니다.”

지난달 중순경 경기 안성에 있는 한 육우농장을 방문할 기회
가 있었다. 십 수년째 농장을 꾸려오고 있다는 이 농장대표는 육우도 부산물이 아닌 정식 축산물로 인정해 달라고 호소했다.
제대로 된 정부의 육우 관련 대책이나 지원이 없이 어렵게 농장을 운영해 오고 있으나 수개월째 계속되는 가격 하락과 소비 위축으로 더 이상 농장을 운영하기 힘들다는 게 그의 하소연이었다.

사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도매시장 평균 육우가격은 지난달 27일 암소 2등급 기준 kg당 6266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2.2%나 떨어졌다. 전월에 비해서도 18.6%나 떨어진 수치다.
구제역으로 인해 전체적인 쇠고기 소비부진 상황이 발생하고 있고 경기불황까지 겹치면서 농가들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에 한국낙농육우협회나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 등이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해 소비촉진에 나서기로 했지만 좀처럼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육우산업의 경우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기준 농가 호당 평균 사육 마릿수가 26마리고, 88%가 50마리 미만의 영세한 농가가 대부분인 관계로 지금처럼 구제역 파장 등으로 축산업이 어려운 시기에 느끼는 고통이 더욱 클 수밖에 없다. 정부가 나서 육성대책과 지원책을 마련해 달하는 농장주의 성토가 이해가 간다.

이런 가운데 최근 축산물을 군에 납품하고 있는 전국의 조합장들이 부족한 돼지고기 급식량을 줄이는 대신 육우나 한우 같은 국내산 쇠고기 급식을 증량해 줄 것을 국방부장관에게 건의키로 했다. 단기간에 소비 확대가 어렵다면 군 급식물량이라도 늘려 보겠다는 심사다.

육우도 매년 사육농가나 사육마릿수가 감소하고 있지만 지난 3월 기준 사육농가 수는 6600호에 사육 마릿수는 14만8000마리로 전체 한육우 마릿수의 5.1%를 차지하는 축산업의 일부이다. 육우농가들의 어려움을 헤아려 정부가 조속히 대책을 마련해 주길 기대해 본다.

<박유신 축산팀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