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가격이 향후 1~2년간은 약세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

농림수산식품부는 지난 26일 소 값 동향 및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며 2009~2010년 과다 입식된 송아지 등의 영향으로 사육마릿수가 1~2년간은 증가해 낮은 소 값 수준도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실제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축동향조사에서도 6월 기준 한·육우사육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4.5%나 증가한 305만3000마리로 집계됐다. 구제역으로 11만4000마리가 매몰됐음에도 사육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송아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한우 정액판매량이 2009년 9월부터 구제역 발생 이전인 지난해 10월까지 262만1000스트로로 전년보다 6.4%나 증가해 당분간 한우의 사육마릿수를 줄이기란 사실상 힘들 것이란 전망이다.

그동안 우리 한우산업은 짧게는 5년 길게는 12년 주기로 위기를 겪어왔다. 일반제조업의 경우 경기하강 국면 시 단기간에 수요와 공급 조절을 통해 대응할 수 있지만 한우와 같은 축산업은 임신·사육기간 등의 영향으로 경기상황 변화에 실시간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지금과 같은 가격 하락은 몇 년 전부터 예견된 일일지도 모른다. 특히 이전과 다르게 우리 한우산업을 위협하는 복병이 있다. 바로 수입 쇠고기다. 지난해 수입된 쇠고기물량은 총 24만5000톤. 올해는 상반기에만 지난해의 62.9%인 15만4000톤이 수입됐다. 이 같은 수입 쇠고기의 국내시장 잠식은 소 값 하락세가 예상보다 오래갈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여지가 크다.

이런 이유로 그동안 축산업계는 더 이상의 소 값 하락을 막기 위해 다양한 한우 소비촉진 행사를 벌여왔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사상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사육마릿수를 줄이지 않는 한 소비확대를 통해 소 값을 반등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정부도 이번 대책을 발표하며 소비확대 대책 이외에 가임 암소 도태 유도나 송아지 생산안정제 개편, 과잉사육농가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중단, 정액공급량 조절 추진 등 사육마릿수를 줄이려는 대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물론 추진과정에서 축산업계와의 이견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최대한 축산업계와의 공조를 이끌어내 한우산업이 조속히 안정궤도에 오를 수 있길 기대해 본다.

<박유신 축산팀장>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