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한축기협의 현황과 한계
(下)개선방안은

불분명한 대표성과 대외홍보부족 등의 한계를 드러내며 존립 목적과 방향을 잃은 한국축산환경시설기계협회.

한축기협이 유명무실한 협회라는 오해를 일축하고 축산기자재산업을 주도적으로 이끌기 위해 무엇이 선행돼야 하는 것일까.

이에 한축기협이 축산업계에 영향력 있는 협회로 발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알아봤다.

# 한축기협, 존립목적 분명히 해야

한축기협의 대표성 부족은 물론 존재가치에 대해 대부분의 축산기자재 업체들이 의문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축산시설·기계 및 기구 관련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설립됐으므로 회원사의 권익보호는 물론 정부로부터 정책적 지원을 유도하는 등 회원사를 위해 존재해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는 지적이다.

이는 회원사의 권익보호를 위한 활동 강화를 통해 회원사와 비회원사 모두에게 협회 필요성을 각인시켜야 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협회에 가입할 경우 정책적 지원에 대한 혜택이나 기술도용, 복제제품 등에 의한 피해로부터 보호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협회의 존립 목적을 바로 세우고 농가와 업체들 사이에서 협회의 존재를 부각시킴으로서 별도의 홍보 없이도 비회원사들 스스로 나서서 협회에 가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축산기자재 업체 한 관계자는 “협회에 가입해도 혜택이나 홍보효과가 부족하다는 주위의 얘기를 듣고 협회 가입을 망설이고 있다”면서 “협회는 회원사로 등록할 경우 정부 주도의 정책이나 사업 참여시 우선 선정대상이나 가산점 부여 등과 같은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 공신력 있는 검증기관과의 업무협약 필요

대부분의 축산기자재는 제품 검정의무 없이도 일반판매나 정부보조판매가 가능해 부실업체들이 남발하고 있고 저급 품질의 제품공급이 만연해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축기협 회원사의 피해가 만만치 않은데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책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2009년 협회 내 품질인증심의위원회 등을 구성하고 회원사의 제품을 검증하는 사업을 추진했지만 회원사의 참여부족 등으로 얼마가지 않아 유명무실해졌다.

당시 품질인증사업에 참여했던 한 업체 관계자는 “농가에선 협회에 대한 홍보가 부족하다 보니 협회의 품질인증을 받는다고 해도 효력은 거의 없는 수준”이라며 “협회가 인증하는 효과나 영향력이 미비하다 보니 회원사들의 품질인증 사업 참여가 부족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품질인증사업과 관련해 회원사들의 이익과 농가의 신뢰회복을 위해선 자체적인 품질인증사업이 아닌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과 같은 공신력 있는 검증기관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회원사들이 검증을 잘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협회의 역할이라는 의견이다.

제품검증을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한 업체 관계자는 “협회가 자체적으로 회원사의 제품인증을 할 것이 아니라 공신력 있는 국가기관 등과의 업무협약을 맺고 협회 회원사에 한해 검증비용을 줄여주거나 검증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이익을 주는 것이 회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협회 내 사조직 없애야

한축기협 내 소수의 업체 대표들이 사조직을 만들어 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같은 사조직에 가입한 업체 대표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축산기자재 산업 현황에 대한 의견과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모임은 단지 정보교환에 그치지 않고 협회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협회 가입을 망설이는 업체들의 고민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회원사들이 평등한 관계를 유지하며 공동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협회가 이같은 사조직의 영향력으로 공정성을 잃는다면 협회 존립의 정당성마저 무색해 질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사조직은 없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모임에서 탈퇴한 업체 관계자는 “이 모임에서 어느 특정업체의 협회가입 여부를 논의한 적이 있다”며 “이는 축산기자재 업체들의 협회 가입을 저해하는 요소일 뿐 아니라 협회 존립의 정당성까지도 위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