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 비료 생산 ''34년 한길''
-유기질 비료 정책 핵심 ''품질''

“흙을 살려야 농민이 살고 유기질비료업계가 살 수 있다는 것이 제 인생철학이자 고집입니다.”

34년을 비료산업에 종사, 양질의 비료생산에 전념하며 비료산업을 선도해 온 박상욱 태농비료산업사 대표.

평소 비료업계에서 바른말 잘하기로 소문난 박 대표는 유기비료 정책의 핵심은 비료의 품질임을 강조했다.

# 현장부터 알고 정책 만들어야

“양질의 퇴비 생산에 맞춰 제대로 된 정책이 뒷받침돼야 합니다. 비료산업에 꼭 필요한 정책을 만들기 위해선 현장을 알아야 합니다. 그곳에 답이 있기 때문이죠. 일정기간의 현장 경험을 의무화함으로써 담당공무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겁니다.”

박 대표는 정부의 비료 정책설정 과정에 있어 담당공무원들이 현장 경험을 많이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정책담당자가 비료산업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책이 변경된다면 비료산업의 혼란이 올 수 있고 이는 곧 농가의 피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비료담당자들을 현장에 투입, 일정기간 의무적인 현장경험을 통해 농가와 비료업계에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 몸으로 느낄 필요가 있다”면서 “최소한 비료담당자가 추천하는 비료를 사용한 농가의 상황을 점검하고 관리할 시간은 충분히 주어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 대학교, 정부산하기관의 퇴비시료 분석비용 낮춰야

박 대표는 양질의 퇴비 생산을 위해선 품질분석을 상시화 하는 등의 업체들의 자구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를 통해 퇴비의 질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품질분석을 자주 하려고 해도 분석비용부담이 커 업체들이 품질분석을 자주 못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퇴비제조업체들은 품질분석을 자주해 봐야 하는데 분석비용이 비싸다 보니 품질분석을 망설이는 것이 사실이며 실제 의무화된 1년 중 4번, 분기별 성적서 제출시에만 분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이로 인해 낮은 품질의 비료가 유통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정부산하기관에서 전체항목 분석을 받을 경우 소용되는 비용이 25만원 이상의 수준으로 각 성분별 분석비용이 따로 책정되는데 굳이 분석이 필요하지 않은 항목도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예를 들면, 유기물과 질소 두 항목을 분석한 결과를 가지고 나눠보기만 하면 나오는 유기물대 질소의 비 항목 또한 분석비용이 발생되는 것이다.

박 대표는 “퇴비 품질분석에 있어 대학교나 정부산하기관의 분석비용이 민간분석기관의 분석비용보다 비싸다”며 “품질분석 비용이 낮아진다면 퇴비제조업체들의 적극적인 품질 분석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친환경 유기질 비료 품질인증 ‘인센티브’ 줘야

박 대표는 현재의 퇴비 품질관리는 문제점이 많다고 지적하며 친환경 유기농자재 품질인증을 통해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물론 품질인증제도는 퇴비제조업체에게는 매우 어려운 제도가 될 수도 있다”면서도 “품질인증을 받은 퇴비에 대한 인센티브가 업체로 하여금 양질의 퇴비생산을 위한 채찍으로 작용해 높은 고품질의 퇴비로 고객인 농업인에게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통해 친환경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흐름에 따라 유기질비료가 친환경농업의 원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