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산물 유통구조에서는 소비자들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한계를 나타나고 있어 향후 수입 수산물의 위협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공급주체와 유통주체간 동등한 교섭력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됐다.

장홍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정책연구실장은 지난 7일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한·노르웨이 공동 수산물 심포지엄’에서 한국의 수산물 현황과 시사점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결혼 기피세대, 1인 가구 등이 증가함에 따라 수산물 소비시장이 세분화되면서 소비자들의 니즈는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시장 세분화 속에서 국내의 수산물 유통·가공 분야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장 실장의 지적이다.

이는 경매단계에서 수산물을 상장할 경우 협동조합이나 중앙도매시장에서는 산지에서 공급하는 수산물을 거부할 권리가 제도적으로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협동조합이나 중앙도매시장은 거래 교섭력이 약해 국내 수산물은 일방적으로 산지에서 소비지로 유통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수산물 소비에 있어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대형 소매점들은 정해진 시간에 일정한 물량과 규격의 안정적인 상품 확보를 공급처에 요구하고 있지만 국내 산지 공급주체들은 어획량을 가늠할 수 없어 이 기준을 맞추기 쉽지 않다.

반면 수입산의 경우 대형 소매점에서 요구하는 물량을 계획적으로 수입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돼 있으며, 국내 바이어들이 해외 수출업자와의 까다로운 협상을 통해 수입을 결정하고, 수준 높은 국내의 통관 위생기준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이같은 이유로 국내 수산물은 수입산과의 시장 경쟁력에서 크게 뒤쳐져 국내 수산물시장이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아 수산물 유통구조 개선을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실정이다.

장 실장은 “현재 상황으로 진단해 볼 때 전통적 수산물 시장에 기반한 물류체계는 도태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며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수산물을 소비키 위해선 전통시장이 유지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앞으로 산지와 유통주체 간의 교섭력을 동등하게 맞추기 위한 정책 등이 검토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