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항원뱅크…시스템 구축 공청회

다음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항원뱅크 비축과 백신접종 시스템 구축방안에 대한 최종 발표가 있을 예정인 가운데 지난 19일 열린 공청회에선 백신 접종에 대한 찬반 양론이 팽팽히 맞섰다.

이날 정부세종컨벤션센터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고병원성 AI 항원뱅크 비축 및 백신접종 시스템 구축방안 공청회’에서 항원뱅크, 접종 시스템 구축 필요성 등에 대해선 대체로 의견이 일치했지만 실제 백신 접종을 할지 여부에 대해선 이견이 노출됐다.

서상희 충남대 교수는 “무엇보다 백신 접종이 국가적으로 이익이 되느냐를 생각해야 한다”며 “맞춤형 개발시 인체감염우려가 거의 없고 살처분을 보완해 링백신으로 할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AI 사태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영기 대한양계협회 AI백신 TF팀 위원장은 “백신과 관련해선 사독백신은 방어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며 "아예 중국처럼 가더라도 정부는 허가만 하고 생산자가 사용부분을 결정토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최영기 충북대 교수는 “백신은 질병의 임상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질병의 감염을 막지는 못하며 부적절한 백신은 바이러스의 변이와 전파를 촉진시킬 수도 있다”면서 “구제역도 백신을 하면서 지금 상재화 얘기가 나오는 것처럼 AI도 만약 백신을 할 경우 반드시 출구전략이 포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홍정익 질병관리본부 과장도 “인체감염 우려가 있는 상황에서 상시 백신시 일반 국민에 노출될 우려가 있어 기본적으로 백신 사용은 반대한다”며 “마치 AI 상재국인 것처럼 대응하는 것보다 차단방역에 더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농가의 현실적인 고충도 제기됐다.

정지상 한국육계협회 상무는 “AI 백신 준비는 하되 시행은 사회적 합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며 “백신을 하더라도 살처분, 이동제한, 반출금지 등의 조치를 추가적으로 해야 하고 무증상, 상재화, 변이 바이러스 등의 문제가 있어 우려되는 부분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와 관련 송창선 건국대 교수는 주제 발표를 통해 “방역에 도움, 인체감염의 우려 등으로 국내 백신 사용에 대한 찬반론이 있지만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이집트 등은 절박한 상황에서 백신을 사용하고 있다”며 “정부가 백신접종 시스템을 마련할 때 중국 내 최근 유행하는 변종 계통인 2.3.2.1과 2.3.4.4 파악을 통한 바이러스 예측 2가 백신을 생산하고 산란계에서의 효능시험과 항체형성 기간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의견에 대해 공청회 좌장을 맡은 김재홍 서울대 교수는 “상시백신을 구축하는 것에는 모두가 동의하지만 과거사례를 볼 때 최초 신고농장이 원발농장인 경우는 없기 때문에 만약 링백신을 할 경우 결국 전국 백신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