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농업의 위기 상황에서 농특위가 구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이에 대한 재원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라 실행에 옮겨지는 것은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예산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자칫 허공에 뜬 논의가 될 수 있다.

또한 지난 1994년 활동했던 농발위의 경우 42조의 예산집행능력이 있었으나 위원회 구성이 각계각층의 사람들로 이뤄져 주요쟁점이 실질적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시행착오를 되풀이 했다.
농발위의 `협동조합개혁''이나 `유통개혁'' 등의 경우만 봐도 의견이 분분해 중구난방으로 재원 낭비만 초래했다.
이에 따라 농특위는 구성위원 포진에 좀더 신중을 기해 농발위에서 범했던 실수를 번복해서는 않된다.

농특위의 구성 위원을 살펴보면 장관과 각계각층의 대표급들이 포진돼 실질적인 논의를 이루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장관급과 대표급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총론도 중요하지만 일선의 전문가의 구체적인 문제해결에 따르는 각론부분을 챙겨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