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부가 오는 4월부터 농가비용절감을 위해 경제형농기계 지원사업을 도입한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관련업계가 현실성이 없다는 이유를 들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특히 경제형농기계 지원사업은 `인위적인 구조조정''이라는 업체반발로 무산된 `모델평가제'' 이후 나온 조치여서 이번 경제형농기계 지원사업 시행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농림부에 따르면 경제형농기계 지원사업의 대상기종은 새로 개발된 모델가운데 기본성능과 안전성 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운 제조기술을 개발했거나 공정 개선 등으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거나 편의성 등 부수적인 기능을 단순화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유사·동일모델에 비해 10% 이상 저렴해야 한다.

사업규모는 경제형농기계 지원사업의 시행여부가 확정된 이후에나 확정될 예정이나 올 농기계구입 융자지원자금 규모인 1472억원 내에서 책정될 전망이다.
이는 올 농기계지원사업자금인 1972억원의 74%에 달하는 금액이다.
1인당 융자지원 한도금액은 일반농기계 지원한도인 3000만원내에서 추후 결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경제형농기계의 정부융자 지원액은 판매금액의 70%까지 지원해준 일반모델보다 10% 높은 80%이다.

결과적으로 경제형농기계의 가격이 일반모델보다 10% 이상 저렴한데다 융자지원도 일반기종보다 10% 높게 지원 받을 수 있어 농가경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게 농림부의 판단이다.
농림부는 현재 경제형농기계선정 심의를 통해 융자지원방안에는 어느 정도 의견접근을 이루었으나 핵심 쟁점인 경제형농기계의 기능, 가격등 구체적인 기준설정 관련해서는 업계간의 견해가 첨예해 여전히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 편의성만을 배제한 경제형농기계가 보급되는 것은 고령화 영농구조등 현실성과 배치된다는 점 또한 원활한 사업추진에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농기계 업체 관계자는 “경제형농기계를 유사·동일모델 보다 10% 싸게 판다는 대원칙으로 정해놓고 있으나, 이는 자칫 내구성등 성능적인 면이 소홀해질 우려가 있어 오히려 농가의 작업능률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특히 농기계부품의 국산화가 가능한 대형업체는 원가 절감이 가능하지만 농기계부품의 외국의존도가 높은 업체의 경우 원가절감이 쉽지않아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관련업계는 정부가 농민의 영농비용 절감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사실상 업계의 구조조정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길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난해 업체간 가격경쟁으로 이미 생산된 농기계도 20~30% 이상 할인 판매되는 상황에서 원가를 10% 절감한 경제형농기계를 생산해 판매한다면 원가 이하의 출혈판매경쟁을 불러일으켜 업체경영이 악화된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