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인 정책 홍보 시급… 지원은 현실적으로 개선돼야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지자체 지원 정책 설명 불충분
초기 융자 지원 확대 필수
사회환원사업·인식개선 기회를
후대에 물려줄 수 있는 축산 되길

최근 들어 청년농업인들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우를 키우는 청년농업인들의 애로사항은 무엇이고 정부나 지자체에 가장 전하고 싶은 말은 무엇일까.

지난 4일 강원도 내에서 한우를 키우고 있는 20~30대 청년농업인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부모님의 대를 이어 한우를 사육하는 청년농업인과 처음부터 차곡차곡 축산 기반을 쌓아가고 있는 창업 청년농업인 등 15명이 이날 함께 했다.

 

정책 적극적 홍보 중요

축산업에 처음 발을 들이는 청년농업인들인 만큼 아무래도 초기 자금 확보와 관련된 문제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정책에 관심이 많았다.

삼척의 최영준 씨는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정책에 대한 홍보와 설명 과정이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에 아쉬움을 표했다.

최 씨는 “지원 정책 내용이 너무 복잡해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거나 본인이 어떤 지원을 받을 수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도움이 필요한 청년농업인들이 스스로 여러 정책들을 찾아보기도 하지만 미리 지자체에서 지원 대상이 되는 농업인들을 파악해 알려주는 것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지원 과정에서도 필요한 자료의 제출이 미비해 결국 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도 종종 있다”며 다양한 지원 정책에 대해 이해하기 쉽게, 보다 적극적으로 설명·홍보해 많은 청년농업인들이 사업 초기 수월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초기 융자 지원·상환체계 현실화 필요

청년농업인의 불안정한 자금 순환을 고려해 정부·지자체의 융자 금액 확대와 거치·상환 기간의 연장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양구의 이정수 씨는 “얼마 전 도에서 사료 배합기 설치 지원 사업이 있다고 해 배합기를 들이려 추진했지만 실제로 투입돼야 하는 금액에 비해 지원되는 융자 등이 턱없이 부족해 곤란함을 겪었다”며 “배합기 설치에 보통 8000만원에서 1억원 정도가 소요되지만 배합기 설치 지원 사업의 경우 이의 절반도 되지 않는 최대 3000만원 융자지원만이 가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업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좀 더 융통성 있게 금액을 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초기 자금 투입이 많은 청년농업인의 경우 안정적으로 축산업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좀 더 배려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홍천의 김병근 씨도 비슷한 의견을 내놨다.

김 씨는 “창업 청년농업인으로서 축산업에 신규 진입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체감하고 있다”며 “시설 융자뿐만 아니라 가축 입식에 대한 융자 지원 금액을 현실화하지 않으면 결국 새로이 축산업에 진입한 청년들이 다른 업체나 농가의 소를 대신 키워주는 역할밖에 하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축산에 대해 기피하는 분위기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어렵게 축산업에 뛰어든 기반이 부족한 젊은 농업인들에 대해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김 씨는 가축 입식에 대한 융자 지원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청년농업인의 역할 확대 기회 마련해야

이밖에도 정부나 지자체에서 청년농업인들이 스스로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달라는 건의도 있었다. 

삼척의 신명철 씨는 “송아지 사육 기반 안정과 종모우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청년들에게 관련 교육을 지원하고 이런 부분에서 나름의 역할을 해나갈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축산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늘고 있는 게 현실”이라며 “청년 농업인들이 중심이 돼 다양한 사회 환원 사업을 진행하고 축산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이날 자리에 참석한 한 청년농업인은 “우리만 배려해 달라는 게 아니며 후대에까지 물려줄 수 있는 축산이 될 수 있도록 도와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