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지난 2일 당사 5층 당무회의실에서 농민단체 대표들을 초청, 6·13 지방선거 공약 마련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강두 정책위의장은 이날 “야당은 농업인이 살아야 지방도 국가도 살수 있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는 만큼 농업인이 잘살 수 있도록 농업인의 의견을 수렴, 정책에 적극 반영할 것”이라며 조언을 구했다.
농민단체 대표들은 이 자리에서 WTO, FTA 등 수입개방압력을 적극 막아줄 것을 비롯해 정책자금 금리 인하, 쌀 산업대책 등을 건의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건의된 내용을 정리한다.
■이천해 전업농중앙연합회 사무총장=쌀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규모화, 전문화 등을 적극 유도해야 하며, 추가조치로 농지매입자금에 대한 금리를 1%까지 내려주고, 논농업직불금을 진흥지역의 경우 80%까지 높혀달라.
■강춘성 농업기술자협회 회장=우리농업은 기후, 경작규모, 가족 위주경영 등의 농업환경이 농산물수출국과는 전혀 다른 만큼 우리실정에 맞는 한국형 농정의 틀을 마련해야 하고, 사회안정 홍수조절 환경보전 자원확보 등 농업이 갖는 다면적기능이 중시돼야 한다.
■김인호 한국여성농업인연합회 회장=현재 실시되고 있는 출산도우미 제도를 영농활동이외의 가사노동 까지 확대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
■박홍수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회장=2002년 이후 농가 실질소득이 하락할 경우 휴경을 전제로 한 생산조정하의 직불제에 논농업직불제를 포함한 직접소득 보전액을 80%로 하고, 세금감면 학자금지원 의료지원방식을 포함한 간접소득 보전액을 20%로 해야 한다.
■김남용 낙농육우협회 회장=한칠레간 FTA가 우리나라 경제에 도움을 준다는 일반경제인들의 주장은 조사과정이 잘못된 것인만큼 재조사를 해달라.
■박병국 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 회장=쌀농가의 불안을 해소해 주기 위해서는 논농업직불제를 전작으로 확대해야 하고, 지원금액도 대폭 인상해야 한다.
특히 정보화시대에 맞도록 농촌에서도 자유롭게 인터넷을 활용할 수 있도록 초고속정보통신망을 확대해야 한다.
- 기자명 길경민
- 입력 2002.05.06 10:00
- 수정 2015.06.19 17:46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