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농수축산신문 ] 

농촌 고령화와 농업 인력 부족 사태가 심화되면서 청년농업인 육성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은 1998년 20%를 넘어서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으며 10년 뒤에는 농가 고령화율이 49.6%에 달할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다.

또 이같은 농업의 급속한 고령화로 현재 농가인구의 1.1%에 불과한 40세 미만 농가 경영주가 별다른 대책이 없는 한 2025년에는 0.4%대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농업의 경쟁력 제고와 농촌 사회 유지를 위해서 청년농업인 육성은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청년 농업인들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많아졌지만 현장에서 이들이 느끼는 체감도는 아직도 낮은 상태이다. 
 

농수축산신문이 2018년 9월부터 ‘청년농업인 자유발언대’ 코너를 시작, 1년 5개월 동안 108명의 청년농업인들과 예비 청년농업인들의 현장 목소리를 들어본 결과 대다수의 청년농업인들은 제도적 지원 확대와 초기 정착비용, 농지매입 자금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또 현재 신규 창농과 귀농에 집중된 현재 제도에 대한 개선 요구도 적지 않았다. 이와 함께 전문 농업인으로서 성장해 나가기 위한 체계적인 전문교육과 생산한 농축수산물을 제값에 판매할 수 있는 판로확보와 마케팅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주거문제와 육아와 의료서비스 개선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1면 기사 참조>
 

우리나라 미래농업의 성패는 용기를 내 농축수산업에 도전장을 내민 청년 농업인들의 성공 모델이 얼마나 많이 만들어지느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인기에 영합한 반짝 지원이 아니라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사안을 지속적으로 살피고,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청년 농업인들은 단순히 퍼주기식 정부 지원을 바라고 있는 게 아니다. 인력을 키워내는 일은 하루 아침에 이뤄지는 게 아니다. 지속적이고 세밀한 정책 추진이 지속될 때 하나씩 빛을 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는 물론 지역사회와 기존 농업인들의 관심과 지원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현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기울이고, 청년 농업인들이 현실적으로 필요한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길 요구한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