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통합물관리를 위한 논의가 아직 부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난 6월 2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농어촌물포럼’에서 한 토론회 패널이 발표자들을 대상으로 말했다. 토론회에 앞서 진행된 주제발표에서 환경부 직원은 환경부 입장의 통합물관리 계획을, 농업 분야 관련 교수와 한국농어촌공사 직원은 농업계 입장에서의 통합물관리 참여·대응 계획만을 발표했다는 것이다. 이는 통합물관리 체제에서 유역 내 생활·공업·농업용수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려면 부처 간 협의가 필수적인데, 실질적인 부처 간 협의 방안을 논의하고 시행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나타내는 단적인 예로 보인다. 
 

통합물관리 체제는 거대한 시대적 물줄기다. 정부와 각계각층에선 지난 수년간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통합물관리와 물관리일원화 등을 주장해 왔고, 지난해 물관리기본법이 시행되면서 통합물관리 체제의 물꼬가 트였다. 이에 농업용수를 관리하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어촌공사 등도 통합물관리 체제 구축에 일조하면서 농업용수의 질과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이는 현 국민들은 물론 미래 세대를 위한 일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확보와 공급이 전제돼야 한다. 계절적 영향을 많이 받는 농업용수를 다양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이 일년 내내 부족함 없이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다만 통합물관리 체제에선 농업용수의 낭비나 유실 문제를 해결하고 남는 농업용수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 농업용 저수지 주변을 친수공간으로 조성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 등도 다양하게 고민해야 한다. 
 

이 과정은 분명 지난할 것이다. 바로 그렇기에 통합물관리 체제 구축과 관련된 관계부처가 지속가능한 물관리라는 공동의 목표를 유념하고 서로 협력해야 한다. “정말로 부처들이 서로 연계하고 통합해서 통합물관리를 실시하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 지 고민해야 한다”고 토론회의 한 패널은 말했다. 양보와 신뢰의 미덕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