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체 가격 올라가는데 납품가격 떨어져

[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자급률 높여야 지속가능한
한우산업 될 수 있어

지난달 29일 수요일 오전 11시, 한참 바쁠 시간이지만 서울 성동구 마장동 한복판에 자리한 한우 가공장 앞이 한산하다.

30명 가까이 근무했던 한우 전문 가공장은 1년 반째 문을 닫은 상태다. 52시간 근무제 시행으로 타격을 받은 H가공장은 높아진 한우 가격에 이중고를 견디지 못하고 도산했다.

마장동에서 한우 가공을 수십 년 째 해온 A 씨는 십 수년 전만해도 젊은 사람들이 패기를 가지고 마장동에 들어와 성실함만 갖추면 돈을 벌 수 있었다그러나 이제 규모가 작은 육가공장들은 돈을 벌기 어렵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한숨만 감도는 마장동을 수요일에 직접 찾아봤다.
 

#달라진 근로환경, 마장동에 직격타

문을 닫은 한우 전문 가공회사는 마장동에서 육가공장을 갖춘 5층짜리 건물 전체를 썼었다. 하루에 한우 30마리 씩을 가공하던 이곳은 마장동에서 20여 년간 한우 가공을 해 왔던 업체다. H사는 매각절차를 진행 중에 있지만 어려워진 한우 육가공 업체를 선뜻 인수하겠다는 곳이 없어 1년 반째 문을 닫고 휴업상태에 있다. 이곳 뿐만 아니라 최근 마장동에 육가공장 몇 곳이 문을 닫았다.

마장동에서 육가공 업체를 운영하는 B 씨는 금요일과 월요일에 경매물량이 거의 없어 화요일 오전 경매가 끝나야 육가공장에 도체가 들어오기 때문에 실제로 육가공장에서 일을 할 수 있는 날은 화, 수, 목 3일 정도라며 게다가 최근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야근이나 휴일근무 자체가 어려워 육가공만 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경영자체가 불가능하다고 꼬집었다.
 

#높아진 한우 가격으로 이중고

특히 최근에는 높아진 한우가격으로 한우 육가공, 유통업체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B 씨는 한우 육가공 업체들은 도체 가격은 올라가고 납품가격이 떨어지니까 버티기가 힘들고 한우 유통업자들도 판매가 어려워지니 경영이 힘들어진다고 밝혔다.

그나마 유통과 육가공장을 병행하는 업체들은 한우 부문에서 본 손실을 다른 부분에서 메꾸며 근근히 버텨나가고 있다.

마장동에서 한우 육가공과 유통을 함께하고 있는 업체 C의 관계자는 높아진 한우 가격과 늘어난 한우 마릿수를 해결하기 위해 마릿수 감축 등 선제적 수급 조절 대책을 말하지만 발전적인 방향이 아닌 것이 사실이라며 여기서 마릿수를 감축하면 가격은 더욱 올라갈 것이고 이 상황을 그대로 두면 폭락이 올 텐데, 자급률을 높여 한우산업 전체가 지속가능한 산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