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산물 소비 확대 위해
생산·유통 과정 ‘체계화’ 필요
[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국내 양봉업계는 지난해 최악의 흉년으로 어려움을 겪은 가운데 지난해 8월 ‘양봉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양봉산업 육성법)’이 시행되면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됐다.
양봉산업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는 동시에 그에 따른 시행 계획을 매년 수립한다는 것과 양봉 전문 인력 양성기관 지정, 꿀벌 신품종 육성, 밀원식물 조성, 국제 협력 촉진, 양봉 농가의 등록 의무 등의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하는 양봉산업 육성법은 농가 등록 의무 조항에 대해 현재까지 많은 논란에 휩싸여 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2월 25일 대전 선샤인호텔에서 개최된 한국양봉협회 임원선거에서 제20대 회장으로 당선된 윤화현 회장은 지난 6일 취임식을 갖고 양봉농가들의 권익 보호와 양봉산물이 제값을 받는 유통 체계를 갖추는 데 노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이상기후로 인한 양봉농가 피해, 정부의 따뜻한 관심 필요
윤 회장은 자연재해로 매년 피해가 속출하고 있지만 양봉농가의 피해에 대해서는 뚜렷한 보상대책이 수립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다가오는 5월과 6월 이 두 달이 우리 양봉농가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시기인데 지난해에는 아까시나무 꽃의 냉해 피해로 인해 벌꿀 생산량이 급감한 바 있다”며 “이 같은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은 양봉농가들을 위한 정부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수 있도록 관련 단체와 협의를 해 나갈 계획이지만 정부에서 먼저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양봉산물 생산·유통 체계화 할 필요 있어
윤 회장은 양봉산물의 소비 확대를 위해서는 생산과 유통 과정을 보다 체계화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벌꿀은 동일한 사양관리, 동일한 밀원 방식에도 불구하고 지역별, 업체별 벌꿀·양봉산물 제품의 품질의 차이가 존재해 소비자들의 신뢰가 다소 높지 않은 편”이라며 “양봉업계의 활성화와 벌꿀·양봉산물의 품질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나 학계, 건강기능식품 관련 전문 기업 등에서 다양한 제품 개발에 힘써 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봉자조금도 현재의 임의자조금 형태에서 의무자조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거출 기준을 마련하는 데 많은 고민을 할 것이다”며 “의무자조금은 유통체계를 확립하고 벌꿀·양봉산물 소비 촉진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양봉농가 간 화합을 위해 반드시 의무자조금으로의 전환을 이뤄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