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안희경 기자]

소 브루셀라병 청정화를 위해서는 검사를 확대하고, 소의 유사산 발생 시 조기 신고를 할 수 있도록 정책이 개선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 브루셀라병 청정화를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본지 주최로 지난달 28일 열린 ‘브루셀라 청정화를 위한 전문가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이같이 주장하며 정부에 브루셀라병 청정화를 위한 정책적 의지를 주문했다.

김영원 전국한우협회 국장은 “유사산이 발생했을 때 조기에 신고해 초동방역을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데 브루셀라병 최초 신고자에 대해서는 구제역처럼 인센티브를 줘야 농가의 신고율이 올라갈 것”이라며 “정부가 브루셀라병 청정화를 위한 의지를 갖고 보상체계를 손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1년에 6번 검사를 하는 젖소에 비해 검사 횟수가 적은 한우에 대해 검사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임연수 농협경제지주 친환경방역부 단장은 “통계자료를 보면 최근 전체 브루셀라병 발생건수가 700마리 이하로 유지되고 있는데 현재의 방역 정책을 더 강화해야만 발생 건수가 내려갈 수 있다”고 말했다.

우연철 수의사협회 사무총장은 “전문가인 수의사가 제 삼자로 개입을 해야 하며 임상수의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만섭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 사무관은 이같은 주장에 대해 최대한 지자체와 협의를 하겠다고 약속하면서도 보상금 차등 지급 등은 전체 질병에 해당하는 것이며 세계동물보건기구(OIE) 등재 조건에 따라 단계별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