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자조금
우유 섭취 소비자 인식 조사
[농수축산신문=김소연 기자]
국내 소비자들은 수입 멸균유에 대해 원산지, 안전성, 유통기한 등에 대한 불신으로 구입은 꺼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국내 유제품 가격 인상으로 일부 언론에서 소비자들이 값싼 수입 멸균유에 관심이 큰 것처럼 보도했지만 실제 조사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됐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최근 국내 우유 소비자 5088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8일부터 14일까지 7일간 ‘우유 섭취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전체 응답자 중 86%(4356명)가 평소 멸균유가 아닌 일반 우유를 섭취한다고 밝혔다. 이유로 응답자의 51.9%가 ‘가공도가 낮아 자연식품에 가깝고 신선해서’라고 답했으며 ‘맛이 좋아서’라고 응답한 경우는 51.6%였다. 또한 ‘품질 측면에서 믿음이 가서’ 22.9%, ‘영양이 풍부해서’ 20.1%로 뒤를 이었다.
일반 우유를 선택한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이 수입 멸균유를 알고 있었지만 구입할 의향은 없다고 답했다. 구입할 의향이 있다는 의견은 25.6%에 불과했다.
수입 멸균유의 구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원유를 수입해서’가 37.4%로 가장 많았으며 ‘유통기한이 최대 1년으로 품질에 대한 의구심이 들어서’ 36%,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의 안전성 보장이 안돼서’ 32.3%, ‘첨가물에 대한 염려가 들어서’ 24.9% 등을 나타냈다.
평소 멸균유를 섭취한다는 응답자는 전체 5088명 중 732명으로 14.4%였다. 그 중 502명(9.9%)이 국내산 멸균유를 섭취하고 있고 230명(4.5%)이 수입 멸균유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산 멸균유를 섭취하고 있는 응답자 502명 중 320명은 수입 멸균유에 대해 알고 있지만 구입의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생산과정·유통과정의 안전성 보장이 안돼서(38.9%) △우유는 기본적으로 신선도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서(38.2%) △원유의 원산지가 수입이라서(25.5%) 등으로 답했다.
우유자조금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소비자들의 전반적인 우유 섭취 실태와 수입 멸균유에 대한 인지정도·소비행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소비자 조사 결과를 미루어볼 때 일부 언론에서 보도하는 것처럼 대부분의 소비자들이 수입 멸균유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구입하는 것은 사실이 아님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홍구 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교수는 “국내 우유는 세균수1A, 체세포 1등급 원유를 사용해 제품에 표기하고 있고 원유 검사를 통해 나온 부적합률이 0.02%(2021년 상반기 기준)로 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며 “반면 수입 멸균유는 원유등급을 확인할 방법도 없고 안전성도 검증할 수 없다”고 말했다.
